엉터리 전시관 두고 터져나오는 비판 목소리
김 고문, 민주주의전당 정문 앞서 홀로 시위
"창원시장 권한대행 논란 보고도 침묵" 비판
민주주의 내용 빠진 자체 시민 강좌도 지적
"총체적 부실...시설 건립 취지와 전혀 맞아"

김영만 열린사회희망연대 상임고문이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운영 중단을 요구하며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열린사회희망연대
김영만 열린사회희망연대 상임고문이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운영 중단을 요구하며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열린사회희망연대

김영만 열린사회희망연대 상임고문이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운영 중단을 요구하며 1인 시위를 했다. 한국 민주주의 역사를 제대로 기록할 때까지 시설문을 닫고 전시 내용을 전면 개편하라는 이유에서다.

김 상임고문은 폭염경보가 내려진 2일 오전 11시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포동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정문 앞에서 홀로 손팻말을 들었다. 그는 민주주의전당 건립 전에 가동됐던 창원시 민주주의전당건립추진위원회 초대 위원장이다. 임시 개관 후 민주주의전당 부적격 전시 문제를 줄기차게 제기해 개선을 요구해 왔다.

김 상임고문은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내부 전시관은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며 “민주주의전당이라는 이름으로 문을 열었지만, 전시장에 가도 민주주의 역사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이름에 맞게 손봐야 한다”며 “전시관 운영을 중단한 뒤에 전면적으로 내부 구성을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상임고문은 또 창원시 최고 책임자가 민주주의전당을 둘러싼 갖은 논란에 이렇다 할 언급이 없는 상황도 지적했다. 그는 “지역사회에서 각계 비판이 잇따르는 실정이라면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시민 뜻을 수용하겠다거나, 언제까지 지적사항을 바로겠다는 식으로 견해를 밝혀야 한다”며 “그런데 마치 남 일인 것처럼 시민들에게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제를 제기하는 시민들과 만나보겠다는 반응도 없는 점을 보면 창원시는 사실상 문제를 개선할 생각이 없는 것 같다”며 “시 책임자답게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지 입장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만 열린사회희망연대 상임고문이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운영 중단을 요구하며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그는 한국 민주주의 역사를 제대로 기록할 때까지 시설문을 닫고 전시 내용을 전면 개편하라고 요구했다. 마산 지역사에 초점을 둔 민주주의전당 시민 강좌를 두고는 "민주주의전당 건립 취지에 맞게 강좌를 열지 않은 건 잘못된 일"이라며 ”민주주의를 알 수 있는 내용으로 교육 일정을 잡았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열린사회희망연대
김영만 열린사회희망연대 상임고문이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운영 중단을 요구하며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그는 한국 민주주의 역사를 제대로 기록할 때까지 시설문을 닫고 전시 내용을 전면 개편하라고 요구했다. 마산 지역사에 초점을 둔 민주주의전당 시민 강좌를 두고는 "민주주의전당 건립 취지에 맞게 강좌를 열지 않은 건 잘못된 일"이라며 ”민주주의를 알 수 있는 내용으로 교육 일정을 잡았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열린사회희망연대

아울러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시설 운영을 맡은 창원시 문화시설사업소 이쾌영 소장 자격 문제도 꺼냈다. 김 상임고문은 “전시 내부 시설이나, 언론 인터뷰 내용을 쭉 훑어보면 이 소장은 민주화운동에 이해도 없고, 역사의식도 없다는 게 표가 난다”며 “뚜렷한 시설 건립 목적과 역사의식 없는 사람은 시설 운영을 맡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소장은 문제가 터졌다 하면 앵무새처럼 ‘문제점을 고쳐나가겠다’는 말만 하고 있다”라면서 “지금까지 기껏해야 바꾼 거는 광주 백골단 사진 하나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여러 민주화운동을 전시에서 제대로 설명하려면, 그 시절 독재자가 정확히 어떤 억압적 통치를 했고, 헌법이 보장하는 국민 기본권을 얼마나 짓밟았는지 부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변천사에 방점이 찍힌 민주주의전당 자체 시민 강좌를 두고도 문제를 제기했다. 창원시는 다음 달 4일부터 9월 5일까지 2개월간 민주주의전당 1층 교육영상실에서 ‘제1기 시민아카데미’를 운영한다. 시민아카데미는 지역 변천사를 주제로 시가 마련한 9회짜리 교육 과정이다.

김 상임고문은 “민주주의전당 건립 취지에 맞게 강좌를 열어야지, 민주주의를 제대로 알 수 없는 강의를 열어서는 안 됐다”라며 “민주주의 교육에 초점을 둔 강의를 열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석환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