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경남지부 전시실 현장 답사
"시설 명칭과 전혀 맞지 않아" 비판
창원시에 전면 재검토 촉구하기도

창원 마산합포구  김주열 열사 시신인양지 주변에 세워진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경남도민일보DB
창원 마산합포구 김주열 열사 시신인양지 주변에 세워진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경남도민일보DB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남지부가 지난 10일 임시 개관한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창원 마산합포구 월포동) 내부 전시 내용을 겨냥해 전문적이지 않을뿐더러 무성의하기까지 하다고 맹비난했다. 

전교조 경남지부는 지난 15일 보도자료를 내어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현장 답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답사는 지난 13일 오전 도내 초등교사와 중등 역사교사 참여로 이뤄졌다.

전교조 경남지부는 "상설전시관 벽면에 기록된 민주주의 연대표에는 '이명박 대통령 취임, 박근혜 대통령 파면, 문재인 대통령 취임,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재명 대통령 취임'이라는 단편적인 기술만 있을 뿐이다"라면서 "대통령 파면에 이르게 한 시민 행동과 촛불혁명과 같은 민주적 투쟁 역사는 단 한 줄도 언급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대통령 교체 배경과 그 과정에서 일어난 전국민적 시민 대응을 기록하지 않아 민주주의를 왜곡했다는 지적이다.

전교조 경남지부는 "전시실엔 민주주의와 무관한 경제발전사가 뜬금없이 배치돼 있기도 하다"며 "지역 민주주의 운동에 대한 조명이 전무한 구성은 전시의 방향성을 의심케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심지어 5.18민주화운동을 설명하는 전시물에 관련 없는 백골단 사진이 배경으로 사용되는 등 기본적인 역사 고증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민주주의전당이라는 이름을 걸고 시민을 맞이할 공간에서 이러한 오류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어린이 전시관을 두고서는 민주주의 교육 공간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도 꺼냈다. 영어 알파벳과 외국어 이름으로 도배된 포토존은 접근성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어린이들에게 민주적 맥락이 전달될 콘텐츠가 전무하다시피 하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아울러 어린이 전시관 주요 전시물에 장애인이나, 피부색이 다른 사람은 오히려 제외하고, 출산, 결혼과 같은 이미지를 나열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기초적으로 배치하는 문화 다양성과 장애, 성평등, 사회참여 등 민주주의 기본 요소조차 반영하지 않아 이대로라면 교육 효과 없는 예산 낭비 사례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부연했다.

더불어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이 시민 피와 땀으로 이루어진 민주주의 역사를 기리고 교육하는 공간으로 바로 서려면 현재 전시 내용과 구성을 반드시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전교조 경남지부는 "창원시는 전문가·시민사회와 즉각 협의해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철저한 고증과 전시 기획을 다시 수립해야 한다"며 "어린이 전시관 개편을 비롯해 마산 3·15의거, 부마민주항쟁, 마창노련 등 지역 민주화 운동과 민주주의역사 관련 전시 강화도 필요하다"고 했다. 또 "지역 민주화 운동 의미와 맥락이 거의 다뤄지지 않은 만큼, 지역 역사 경험을 조명하는 전시가 민주주의전당 정체성을 세우는 핵심 요소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시는 이런 목소리와 관련해 다양한 의견 목소리를 듣고 있다고 밝혔다. 시 문화시설사업소 관계자는 "전문가 자문 받아 수정할 부분들은 수정하게 될 것"이라며 "예산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라 내용에 따라서는 시차를 두고 고쳐야 하는 것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석환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