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마산합포구 3·15해양누리공원에 있는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이 6월 10일 임시 개관했다. 정식개관은 7월 1일이다.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내부 벽에 큰글씨로 쓰여있는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임시 개관식에 참가한 김영만 열린사회희망연대 고문과 시민사회 단체 회원들이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
마산·창원지역의 현대사 중 '산업 발전'에 초점을 맞춰서 서술한 전시 해설.
김영만 고문이 '4·11민주항쟁(2차 의거)'에 대한 설명을 해놓은 지점을 가리키며 ""시위에 참여한 숫자는 논란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설명 판에는 ' 3만여 명 시민 봉기'라고 쓰여 있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참여 인원을 4만 명으로 기록해뒀다는 것이다.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2층 다목적전시실에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민주주의 교육 공간이 마련돼 있다.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에 조성돼있는 다목적 강당에서 청소년들이 사회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글·사진 김구연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 '민주주의전당' 전시 구성 논의 부실했다
- 교사들도 민주주의전당 전시 내용 비난 "전문성 없고 무성의"
- 창원 민주주의전당과 비교되는 서울 민주화운동기념관
- "반민주 인물들과 함께 못해" 민주주의전당 자문위 와해 되나
- "민주주의전당 내부 벽면에 세계 유명 명언 기록 웬 말?"
- 전국 민주화단체들도 "민주주의전당 이대로는 안 된다"
- 창원 민주주의전당 논란 전국이 주목...보완 지적 봇물
- 민주주의전당 논란 남재욱 시의원 적반하장... 민주단체에 토론 제안
- 창원시, 민주주의전당 '전시 의견 수렴' 안 했다
- 국민의힘 김미나·남재욱, 민주주의전당 자문위원 자격 없다
- 민주주의전당 건립추진위도 역할 못했다
- 부마민주항쟁 관련 단체들도 민주주의전당 비난..."전면 재검토하라"
- 민주주의전당 정식 개관 일정 무기한 연기...시민단체 "꼼수" 비판
- 민주주의전당에 정작 '민주주의'는 없었다
- 민주주의전당 시민 강좌에도 '민주주의' 빠졌다
- 창원시, '부실·왜곡 전시' 민주주의전당에 사람 모으는 데만 관심
- 민주주의전당 초기 설계단계부터 문제...전시공간 20%도 안 돼
- 민주당 창원시의원들, 민주주의전당 '문제적 전시' 보완 촉구
- 공무원노조도 민주주의전당 비판..."전시 머릿속에 남는 게 없다"
-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전면 개편 촉구 '무기한 1인 시위'
- 민주주의 없는 '민주주의전당' 창원시·시의회 합작품이었다
- 민주주의전당 시공사, 창원시에 공사 대금 청구 소송
- '국비 요청 전후 내용 달라진 민주주의전당' 논란 커진다
- 시민사회계 "민주주의전당 망친 박선애 창원시의원 사퇴하라"
- 민주주의전당 변질, 민주당 창원시의원도 자유롭지 못하다
- "민주주의전당 본래 건립 취지 어긋나" 국회 대정부 질문서도 질타
키워드
#경남
김구연 기자
sajin@idomin.com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