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립 과정에서 복합문화공간 변질
시민사회계 행안부 자체 감사 요구
"감사원 공익감사 청구도 추후 고려"
정부가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건립에 국비를 지원하고도 그 돈이 목적에 맞게 쓰였는지 살피지 않고 있다. 시민사회는 감사를 청구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는 민주주의전당 전체 건립비 353억 원 중 3분의 1(34.38%)에 해당하는 국비 121억 3800만 원을 지원했다. 창원시비(186억 1000만 원·52.72%)보다는 적고, 경남도비(45억 5200만 원·12.80%)보다는 많은 액수다.
행정안전부는 지방재정 투자심사를 거쳐 국비 지원을 결정했다. 이 투자심사는 지방재정 투자사업 예산편성 전 예산 사용 필요성과 타당성을 따지는 제도다. 지방재정법을 근거로 운용된다. 지방재정 효율적 운영과 중복투자 방지 등이 목적이다.
국고 지원 최초 승인은 ‘2020년 제1차 지방재정 중앙투자사업’에서 나왔다. 행정안전부는 당시 창원시가 낸 지방재정 투자심사 의뢰서를 토대로 심의해 조건부 승인했다. 차별화된 콘텐츠 확보와 전시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 세부 시설 운영계획이 미흡하다는 점이 이유였다.
행정안전부는 뒤이어 보완 검토까지 마치고서 국고 집행을 최종 결정했다. 시가 낸 의뢰서에 적힌 대로 민주주의 정신을 전승하는 민주주의 상징 공간이자, 교육 공간 건립 필요성에 동의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행정안전부는 돈을 써놓고 준공 후 목적에 맞게 시설이 지어졌는지 사후평가를 한 적이 없다. 본래 취지에 부합하는 시설인지 따질 생각을 하지 않아 어디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지 못한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이전에 진행됐던 투자심사는 요청한 액수대로 민주주의전당에 돈이 쓰였는지, 수요가 얼마나 나올 것인지 등을 위주로 이뤄졌다”며 “사전 심사과정에서 내부 상세 콘텐츠가 어떻게 구성이 돼 있는지까지 일일이 들여다보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시설 목적과 다르게 완전히 바뀌었다면, 신규사업으로 보고 재심사를 할 수 있겠지만, 콘텐츠 질을 떠나 규정상 현재 민주주의전당 내부 전시 비중이 바뀐 정도로는 문제 삼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했다.
아울러 “기존 목적이 줄었다고 하더라도 세부적인 타당성까지 따지기 힘들다”면서 “목적대로 지어졌느냐, 안 지어졌느냐는 외부 기관이 사후적으로 감사를 추진해 평가가 이뤄져야 할 사안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도내 시민사회 단체 인사들은 우선 행안부 자체 감사를 요청하고, 추후 감사원 공익감사 청구까지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영만 열린사회희망연대 상임고문은 “27일 오전 세종에 있는 행정안전부를 직접 찾아 자체 감사 요청서를 전달할 예정이다”라면서 “민주주의전당에서 역사 왜곡 문제가 생겨났고, 쉼터로 전락하기까지 해버렸다. 이러한 시설 문제를 바로잡아야 하므로 행정안전부가 할 수 있는 최대치를 하도록 촉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병하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제대로 만들기 시민대책위원회’ 공동대표는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민주주의전당 문제를 지속해서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라면서 “그래도 문제가 바로잡히지 않는다면 추후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를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석환 기자
관련기사
- 민주주의전당 시공사, 창원시에 공사 대금 청구 소송
- 민주화운동 단체 인사들, '기생충' 발언 남재욱 창원시의원 고소
- 민주주의 없는 '민주주의전당' 창원시·시의회 합작품이었다
- "민주주의전당 전면 개편해야" 부마민주항쟁 해설사들도 혹평
-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일부 개편 추진 소식에 지역사회 '반발'
- 창원시, 민주주의전당 전면 개편 계획 없다
- 민주주의전당 범시민기구 만들어졌다
-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전면 개편 촉구 '무기한 1인 시위'
- 공무원노조도 민주주의전당 비판..."전시 머릿속에 남는 게 없다"
- 민주주의전당 초기 설계단계부터 문제...전시공간 20%도 안 돼
- 민주당 창원시의원들, 민주주의전당 '문제적 전시' 보완 촉구
- "민주주의전당 독재자·고문·학살 기록 고스란히 새겨야"
- "민주주의전당 문제, 정부 직접 대응을" 시민단체, 국정기획위에 요청
- 창원시, '부실·왜곡 전시' 민주주의전당에 사람 모으는 데만 관심
- 반민주적 행정 '심각'...창원시, 민주주의전당 용역 자료 몽땅 비공개
- 시민사회계 원로 “민주주의전당 폐쇄하고 전시 새로 짜야”
-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에 민중의 노래도 담겨야"
- "민주주의전당 운영 중단 후 개편하라" 1인 시위 나선 김영만 희망연대 고문
- 민주주의전당 시민 강좌에도 '민주주의' 빠졌다
- 대학 민주동문회도 민주주의전당에 분개..."문 닫고 개편하라"
- 민주주의전당에 정작 '민주주의'는 없었다
- 민주주의전당 정식 개관 일정 무기한 연기...시민단체 "꼼수" 비판
- 부마민주항쟁 관련 단체들도 민주주의전당 비난..."전면 재검토하라"
- 민주주의전당 건립추진위도 역할 못했다
- 민주주의전당 정식 개관 무기한 연기
- 국민의힘 김미나·남재욱, 민주주의전당 자문위원 자격 없다
- 창원시, 민주주의전당 '전시 의견 수렴' 안 했다
- 창원 민주주의전당 논란 전국이 주목...보완 지적 봇물
- 전국 민주화단체들도 "민주주의전당 이대로는 안 된다"
- "민주주의전당 내부 벽면에 세계 유명 명언 기록 웬 말?"
- "반민주 인물들과 함께 못해" 민주주의전당 자문위 와해 되나
- 민간인학살유족회도 전시 내용에 분노 "민주주의전당, 이승만이 감추려한 역사 담아야"
- 창원 민주주의전당과 비교되는 서울 민주화운동기념관
- 교사들도 민주주의전당 전시 내용 비난 "전문성 없고 무성의"
- 창원시 '민주주의전당 정체성' 뿌리채 흔들고 있다
- 손태화 의장 민주주의전당 부적절 인사 추천 "의도했다"
- 창원 민주주의전당, 이번엔 극우 인물들 자문위원 위촉으로 홍역
- '민주주의전당' 전시 구성 논의 부실했다
- 3.15 부정선거 원흉 이승만 지운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 [사진 뉴스] 임시개관한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가봤더니
- 시민사회계 "민주주의전당 망친 박선애 창원시의원 사퇴하라"
- 민주주의전당 변질, 민주당 창원시의원도 자유롭지 못하다
- 행정안전부 민주주의전당 콘텐츠 시정·보완 직접 나서나
- "민주주의전당 본래 건립 취지 어긋나" 국회 대정부 질문서도 질타
- 행안부, 민주주의전당 비공개 방문 계획… 지역사회 “부적절”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