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계 '전당 제대로 만들기 시민대책위' 꾸려
“전당 전시 공간, 대한민국 민주화 역사 담기 좁다”
창원시에 일부 수정 계획 취소·전면 개편 등 요구
시민사회계가 ‘창원 민주주의전당’ 총체적 문제점을 바로 잡고자 범대응 기구를 만들었다. ‘민주주의전당 대대적인 개편’ 목소리는 더 거세지게 됐다.
경남 시민사회단체 83곳은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제대로 만들기 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참여 단체는 역사·여성·환경·교육·노동·언론·문화·종교 등 전 분야에 걸쳐 있다. 대표적으로 보면 경남대 동문공동체·경남민주교수연대·경남여성단체연합·경남장애인인권포럼·김주열열사장학회·마창노련동지회·지역원로모임·창원민예총·천주교마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등이다. 특히 광주·전남 14개 대학 교수와 연구자로 구성된 광주전남교수연구자연합도 포함해 있다.
시민대책위 집행부는 이병하·이순일·박재혁 공동상임위원장, 백남해 특임위원장, 김영만 상임고문, 김의곤 집행위원장, 송명희·정혜숙·조수현·우은신 집행위원 등으로 꾸려졌다.
시민대책위 40여 명은 6일 오전 11시 창원시 마산합포구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앞에서 시민대책위 조직 기자회견을 열고 ‘전당 임시 폐관후 전시 전면 개편’을 촉구했다.
이병하(경남진보연합 대표) 시민대책위 공동상임위원장은 “현재의 전당 전시는 창원 경제 성장의 역사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창원상공회의소 전시실에 들어가는 게 맞다”며 “전시는 박정희 18년 독재를 산업화와 경제 성장으로 표현하며 민주항쟁 역사적 의미를 퇴색시켰다”고 목소리 높였다.
이들은 전당 전시공간이 좁아 대한민국민주주의 역사를 아우르지 못한다는 한계도 재차 지적했다.
이순일(열린사회희망연대 상임대표) 시민대책위 공동상임위원장은 “1층 민주홀은 연극 관람석으로 꾸며져 민주화 운동과 전혀 관련 없는 공간”이라며 “전당 전시실은 전당 전체 공간의 20% 수준인데, 굳이 넓은 카페를 넣었어야 했는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이들은 전당과 국립3·15민주묘지 기념관 공간을 비교해 전시 빈약함을 강조했다. 시민대책위는 창원시 마산회원구 국립3·15민주묘지 기념관의 전시관과 영상 공간은 1026.66㎡라고 전해했다. 그런데 건물 규모가 훨씬 큰 민주주의전당 전시공간은 그와 비슷한 1038.97㎡이라고 설명했다.
박재혁(6월항쟁정신계승경남사업회 상임대표) 시민대책위 공동상임위원장은 “전당은 대한민국민주주의 역사를 담아야 하는 공간임에도 3·15의거만을 설명하는 기념관과 전시 공간이 비슷하다”며 “전당 공간이 얼마나 비효율적이고 부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들은 창원시에 △전당 수정계획 즉각 취소 △전당 즉각 폐관 후 전면 개편, 창원시의회에 △전당 운영자문위원단 추천권 박탈 △전당 운영조례 내 시민문화복합공간 구절 삭제를 촉구했다.
시민대책위는 이르면 다음주 창원시의회 주도 아래 창원시의회, 창원시, 시민단체 3자 간담회가 열릴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간담회에서 전시 전면 개편을 재차 강조할 예정이다. 또한 대책위는 전당 전시가 제대로 개편될 때까지 무기한 1인 시위를 이어갈 계획이다.
/안지산 기자
관련기사
- 창원시, 민주주의전당 전면 개편 계획 없다
-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일부 개편 추진 소식에 지역사회 '반발'
- "민주주의전당 전면 개편해야" 부마민주항쟁 해설사들도 혹평
- 민주주의 없는 '민주주의전당' 창원시·시의회 합작품이었다
- 민주주의전당 시공사, 창원시에 공사 대금 청구 소송
- '국비 요청 전후 내용 달라진 민주주의전당' 논란 커진다
- 시민사회계 "민주주의전당 망친 박선애 창원시의원 사퇴하라"
- 민주주의전당 변질, 민주당 창원시의원도 자유롭지 못하다
- 행정안전부 민주주의전당 콘텐츠 시정·보완 직접 나서나
- "민주주의전당 본래 건립 취지 어긋나" 국회 대정부 질문서도 질타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