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콘텐츠와 부적절한 자문위원 선정으로 지적을 받아온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정식 개관이 결국 무기한 연기됐다. 콘텐츠 부실 문제는 민주주의전당 정체성과 맞닿아있다.

민주화 운동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서 대한민국 민주정부 수립 이후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권위주의적 통치에 항거하여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회복 신장시킨 활동으로 규정하고 있다. 2.28 대구민주화운동, 3.8대전민주의거, 3.15의거, 4.19혁명, 6.3한일회담반대운동, 3선개헌 반대운동, 유신헌법반대운동, 부마항쟁, 5.18민주화운동, 6.10항쟁 등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1960년 3.15 부정선거를 일으킨 '이승만' 전 대통령 이름을 제대로 명시하지 않은 점을 비롯해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민주화 운동을 담지 못한 점 등 콘텐츠 구성과 전시물 부족 문제는 단기간에 보완하기 어렵다.

민주주의전당 운영 주체가 돼야 할 자문위원 가운데 부적절한 인사 선정 문제도 풀리지 않고 있다. 국민의힘 김미나(비례)·남재욱(내서읍) 창원시의원을 조례에 따라 시의회 의장이 추천을 했다지만 두 시의원은 탄핵 반대 집회 참여와 내란 동조 발언을 이어왔고, 이우태 3.15의거학생동지회장도 내란 옹호와 3.15의거 정신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던 인물이다. 손태화 의장은 '정무적 판단' 운운 그만하고 3.15의거기념사업회,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6월항쟁정신계승 경남사업회 등 관련 4개 단체의 위촉 철회 요구를 즉각 수용하기 바란다.

창원시는 운영자문위 구성, 개관 일정 계획을 뚜렷하게 밝히지 않았고, 시범운영 기간에 설문 조사, 시민사회단체와 전문가 의견 등을 듣겠다고만 했다. 논란을 해결할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하지 못해 시범운영 기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한국 민주주의는 많은 진전에도 여전히 위험 요소를 안고 있다. 이런 불안을 극복하는 대한민국민주주의 전당이 되어야 한다. 서두르지 말고 단단히, 차근차근 준비해 개관해야 한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