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의원, 간담회서 제안…마산역장 '거부'
마산역 광장에 설치된 '가고파 이은상 시비'에 새긴 글을 모두 지우고 마산시민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문학인의 작품을 새롭게 새기자는 제안이 창원시의원들로부터 제기됐다.
창원시의회 통합진보당 소속 시의원 6명(강영희·김태웅·문순규·송순호·정영주·최미니)은 지난 29일 허인수 마산역장과 김봉호 남마산로타리클럽 회장과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하지만 허 역장과 김 회장은 난색을 표했다.
이날 마산역장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송순호 의원은 "이은상 시비를 개인 집에 100개를 세워도 문제 될 게 없겠지만 공공장소에 3·15 의거를 폄훼한 이은상의 시를 두는 건 옳지 않다"며 "이은상 개인을 기념하기 위해 시비를 세운 게 아니라면 마산 시민 누구나가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을 새로 새기는 게 옳다"고 밝혔다.
문순규 의원은 "마산역에 이은상 시비가 계속 남아 있으면 지역사회 갈등은 더욱 증폭될 수밖에 없다"며 "아마 더 높은 수준의 저항이 잇따를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 의원은 또한 이은상 시비 뒷면에 '3·15 민주화의 성지 마산'이라는 문구를 새기자는 허 역장과 김 회장의 제안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된 내용을 어떻게 한데 섞을 수 있느냐"며 "계속 이렇게 가다간 그 누구도 발을 뺄 수 없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하지만 허인수 마산역장은 "철거는 어렵다. 그리고 작품을 바꾸는 것은 더 어렵다"고 밝혔다. 김봉호 남마산로타리클럽 회장은 "마산이 민주화 정신과 문학이 한데 어우러진 미래지향적인 도시로 가야 한다"고 대응했다. 또한 김 회장은 "차라리 시비 설치비 3000만 원을 주는 곳이 있으면 철거를 하든 뭘 하든 상관하지 않을 것이고 우리는 그 돈으로 다른 봉사활동을 추진하면 된다"고 역제안을 하기도 했다.
김봉호 회장은 "이은상 시비를 어떻게 처리할지 여론조사를 하면 좋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러자 문순규 의원은 "역사적 평가를 어떻게 다수결인 여론조사에 맡길 수 있느냐"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 이은상 시비 갈등 지속…찬성측 "문구 수정하자"
- [사설]이은상 시비 논란과 불편한 진실
- 이은상 사이에 둔 찬반 단체간 기묘한 동거
- [취재노트]이은상 시비가 일깨워 준 것
- 흉물 돼 가는 이은상 시비…문구수정 제안나와
- 이은상시비 철거대책위, 15일 마산역장실 점거
- 이은상 시비 철거대책위 마산역장실 점거
- 이은상 시비에 3·15 기념사업회 묵묵부답…왜?
- [사설]이은상 시비 철거되어야
- '친독재 부역vs아니다' 해묵은 이은상 논란 재 부상
- "3·15 기념식 전에 이은상 시비 철거를"
- "이은상 시비, 가고파 문화 밀어붙인 결과"
- 이은상 시비 철거 촉구 펼침막
- 페인트에 물든 이은상 시비
- 이은상 논란 속 '가고파 시비' 제막
- [데스크칼럼]갈아엎는 달 4월, 껍데기는 가라
- "이은상 시비, 코레일 사장이 나서라"
- 일부 문인 중심…이은상 복권 세력 조직적 결집
- 이은상시비 대책위 최후통첩 "직접 철거하겠다"
- 크레인 동원한 이은상시비 철거 '무산'
- 이은상 논란 가열하는 조영파 창원 부시장
- 이은상 시비 새 국면…3000만원에 운명 갈릴까?
- 보존회 발족…'이은상 시비' 힘 겨루기 본격화
- 이은상 시비 옆에 새겨진 '지울 수 없는 역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