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 기준 초과해 준공 미승인
이달 28일 개통할 예정이던 부산∼김해 경전철이 또다시 무기한 연기되게 됐다. 정확한 개통일을 잡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경전철조합 측이 시행사 측에 내린 소음민원 보완지시를 2차 준공 마감일인 지난 18일까지 이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경남도환경보건연구원의 야간 소음측정에서 지적된 삼계동 부영5차 아파트 일원 소음민원은 법적 기준치(60dB)보다 1.5dB을 초과했다.
이로써 부산∼김해 경전철은 애초 4월 개통설에서 7월 초 개통설에 이어 7월 말 개통설 등으로 계속 지연되면서 신뢰성 잃은 '양치기 경전철'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전철조합 측은 삼계동 일원 소음민원을 해결할 것을 시행사 측에 보완지시했으나 시행사 측이 2차 준공일인 지난 18일까지 소음민원을 해결하지 못해 준공승인을 하지 않았다고 19일 밝혔다.
조합 측은 시행사가 이 야간 소음민원을 법적 기준치 이하로 낮추려면 최대 4개월(야간 작업 기준)까지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시행사 측은 문제의 소음민원을 해결하고자 조합 측에 4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소음을 줄일 흡음제 설치 건과 사생활 침해방지 차단시설 설치 건, 선로 내측 소음제거 레일코팅제 설치 건, 레일커버 설치 건 등이다.
경전철 시운전을 멈추고 주·야간 모두 작업한다면 다소 작업 시일을 단축할 수는 있겠지만 가능성은 적다.
소음민원으로 개통이 지연되자 김해시는 19일 '선 개통 후 보완'을 경전철조합 측에 요청했다. 그러나 조합 측은 소음측정 결과 소음 기준치가 초과한 상태에서 준공을 승인하기는 어렵다며 시의 요구를 거절했다.
시는 개통 일정이 계속 연기되면서 자칫 시행사 측이 자금 문제로 아예 경전철 개통 자체를 중단할 가능성도 있다며 개통 지연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
안종현 김해시 대중교통과장은 "시행사 측이 소음민원 해결책으로 제시한 4가지 방법을 추진하면 야간 소음을 법적 기준치보다 3~4dB정도는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조합 측이 '선 개통 후 보완' 요구를 받아들였으면 좋겠지만 개통 후 안전문제 등을 고려한 조합 측의 '선 조치 후 개통' 주장도 이해는 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개통 일자는 준공승인이 나야만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1곳 소음 기준치 초과, 김해경전철 또 보완지시
- 김해경전철, 이번엔 개통 촉구 민원..28일 개통 여부 촉각
- "삼계동 일대 경전철 방음벽 설치를"
- "경전철 개통 전 시민안전부터 해결"
- '말 많던' 김해 경전철 7월 29일 개통
- [바튼소리] 소음 소홀시한 김해경전철
- 김해경전철 개통 최대 걸림돌 '소음'
- 불안한 김해경전철
- 김해경전철 준공 초읽기…소음문제 해법은?
- 김해 경전철 7월 개통 관건 '안전성'
- 김해경전철 적자보전비율 76%로 내려
- "김해 경전철, 시민에게 책임전가"
- 김해경전철 1구간 1200원·2구간 1400원
- "김해 경전철 적자 정부가 부담해야"
- "김해 경전철 사업자 이익배분 나서라"
- '부산-김해 경전철' 돈 먹는 애물단지 될라
- 김해시 20년간 경전철(주)에 1조 2373억 물어줘야
- 김해경전철 이번엔 9월 개통 줄다리기
- 김해경전철, 기어이 감사원까지 가나
- 부산∼김해경전철 개통 5일 만에 고장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