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해양신도시, 알고 결정하자] (하) 옛 창원진해지역 창원시의원 입장

7일 오후 2시에 예정된 마산해양신도시 협약변경안에 대해 옛 창원·진해지역 시의원들 입장은 찬성과 보류가 팽팽하게 맞섰다.

매립 형태는 섬형, 면적은 63만 ㎡로 추진되어야 하지만, 당장 '마산해양신도시 건설협약 변경안'을 의회에서 통과시키면 안 된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창원·진해지역구 창원시의원 34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인터뷰에는 26명이 조사에 응했다.

◇"논의 더 필요하다" = '해양신도시 협약 변경안'에 대해 당장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12명)과 보류(12명) 응답자 수가 같았다. 변경안에 대해 찬성한 일부 의원들은 세부적인 논의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김문웅(새누리당, 상남·사파동) 의원은 "창원시장이 통과 후 토지사용문제 나중에 함께 고민하자고 했다. 그런 부분에 대한 의구심만 해소되면 처리하는 게 맞지 않나 싶다"고 했다. 이성섭(새누리당, 웅천·웅동1·2동) 의원은 "이 사업은 통합 전 마산의 경제를 살리고자 추진했던 사업이다. 만약 지연되면 민간사업자 사업포기 때 추정 법적분쟁비용을 야기한다"고 답했다.

   
 

섬 형태로 메우자면서도 건설협약 변경안에 대해서는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응답도 나왔다.

이찬호(새누리당, 반송·중앙·웅남동) 의원은 "매립형태는 섬형태가 맞지만, 실시협약이 불합리하다는 의견이 많다. 논의를 더 해서 4월 말에 본회의에 상정되어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차형보(무소속, 동읍·대산면) 의원은 "매립면적과 형태는 여러 번 토론을 거쳐 결정했다. 이러한 기본계획은 그대로 가져가되 세부계획은 변경해야 할 것 같다.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우서(민주통합당, 태백·경화·병암·석동) 의원도 "창원시 안을 받아들이지만 시가 세부계획 세우고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 의회는 예산을 줄여야 한다"고 했다.

"급하면 체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여월태(통합진보당, 가음정·성주동) 의원은 "시에서 급하다고 빨리 처리할 문제는 아니다. 좀 더 시간을 두고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했고, 김태웅(통합진보당, 이·자은·덕산·풍호동) 의원은 "인공갯벌을 좀 더 일찍 제기했다면 좋았겠지만 지금이라도 할 수 있다. 항로준설 최대한 적게 해 환경파괴 막아야한다"고 말했다. 강기일(새누리당, 상남·사파동) 의원은 "다각적인 검토를 해야 한다. 매립 면적·형태보다 재해 방지대책이나 바다 밑 준설토 활용부분 등에 대한 세세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찬성·반대 이유 모두 "예산 걱정" = 마산해양신도시를 마산항~돝섬 사이에 섬형으로 매립하고, 면적은 63만㎡로 조성하자는 창원시 사업 개요에 대해 찬성하는 의원은 12명으로 반대 10명보다 많게 나타났다. 찬성이든 반대든 설문조사에 응한 창원시의원들 대부분이 예산을 걱정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김성일(무소속, 이·자은·덕산·풍호동) 의원은 "2000억 원보다 더 큰 비용을 들여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창원시가 마련한 안이 맞다고 본다. 창원시 상징물이나 야구장에 투입할 비용이 적은데 마산해양신도시에 예산이 쏠리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전수명(무소속, 중앙·태평·충무·여좌동) 의원은 "녹지형태 개발 이상적이나 창원시 부담 늘어나므로 창원시 안이 현실적"이라고 답했다.

섬형 매립을 반대하는 의원들도 창원시 예산을 근거로 댔다. 장동화(무소속, 북면·의창동) 의원도 "마산지역에 재개발할 곳이 얼마나 많은데 해양신도시에 그 많은 돈을 붓느냐"며 "원점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영희(통합진보당, 팔룡·명곡동) 의원은 "지난번 본회의에서 보류시켰다. 그런데 창원시는 똑같은 안을 또 상정하려고 한다. 이는 말이 안 된다"며 "시민대책위 의견을 존중해 조정해야 한다.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