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서 '해양신도시 복합비즈니스벨트 35%·공원 45%' 답변

7일 창원시의회 본회의에 마산해양신도시 협약변경안이 상정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5일 열린 시의회 본회의에서는 마산해양신도시 '토지이용계획'을 놓고 논란이 있었다.

창원시에서 "토지이용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가, "큰 틀에서 계획한 것으로 세부 계획은 이후 개발계획자문위원회를 통해 할 계획"이라고 한 발짝 빼는 혼선을 초래했다.

지금까지 협약변경안이 통과된 후 조정위원회를 통해 해양신도시 토지이용계획을 협의하겠다고 밝혔던 창원시 박완수 시장이 "이미 토지이용계획을 잡았다"는 요지의 발언을 한 것이다.

이날 논란은 문순규(통합진보당·양덕1·2,합성2,구암1·2,봉암동) 의원이 마산해양신도시 문제와 관련해 집중적으로 질문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먼저 문 의원이 "계획도 없이 매립부터 하자는 것은 안 맞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답변자로 나선 박완수 시장은 "토지이용계획이 짜여 있다"고 밝힌 것이 발단이 됐다.

이어 이수환 해양개발사업소장도 추가 답변을 통해 "전체 면적 가운데 복합비즈니스벨트 35%·공원 45%·나머지는 도로 등 기타 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해양신도시 토지이용계획이 이미 잡혔다는 내용은 지금까지 한 번도 공개된 적이 없었다. 그동안 시는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개발계획자문위에서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기 때문에 큰 논란의 소지를 안고 있는 이야기였다.

문 의원은 곧바로 "토지이용계획을 시의회에 한 번도 보고한 적이 없는데, 언제 결정했다는 말인가"라고 놀라 물었다.

이에 박 시장은 "나름대로 내부에서 만든 개괄적인 내용이고, 구체적 내용은 앞으로 논의할 것이고, 용도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고 답하면서 논란은 일단락됐다.

이런 가운데 이수환 해양개발사업소장은 "애초부터 섬형 계획이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15일 '마산 해양신도시건설 실시 협약변경 동의안' 심사가 있던 시의회 균형발전위원회 자리에서 당시 김현만 해양개발사업소장이 "매립 형태 문제도 시민 협의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밝힌 것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부분이었다.

한편, 창원시는 형태 및 면적 변경은 어렵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또한, 최근 시민단체에서 제안한 인공갯벌 조성 역시 불가능하다는 뜻을 밝혔다. 박 시장은 "인공갯벌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특히 9m에 이르는 마산만 수심에서는 어렵다"는 견해를 밝혔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