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인공갯벌 불가"…대책위 "해양생태공원으로 시민 환원"
마산해양신도시 매립형태와 면적, 토지이용계획을 모두 담은 '마스터플랜'이 나올 수 있을까. 마산해양신도시건설반대 시민대책위원회(이하 시민대책위)는 창원시의회 다음 회기가 열릴 때까지 창원시가 제안한 개발계획자문위원회와 함께 가포신항 항로준설토 투기장인 마산해양신도시를 어떻게 활용할지 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창원시는 시민대책위가 제안하는 '인공갯벌'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 견해를 나타내며 '설득'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이 때문에 계속된 의견 대립 속에서 또다시 시간만 흘러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한다.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실시협약 변경 동의안'이 의회에서 부결되자 8일 시민대책위는 "이제는 마스터플랜을 짜야 할 때"라고 밝혔다. 관계자는 "그동안 섬 형태 매립과 육지에 붙여 매립, 인공갯벌조성형 등 매립 형태가 먼저 도출됐다. 하지만, 이것은 순서가 잘못됐다. 가포신항 항로준설토 투기장인 마산해양신도시를 어떻게 활용할지를 먼저 논의해야 한다. 토지이용계획에 따라 공사비와 공사기간, 매립형태가 달라진다"고 지적했다.
시민대책위가 창원시의 복합비즈니스벨트에 대항해 내놓은 활용방안은 해양생태공원이다. 마산해양신도시는 지역민을 위해 공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하려면 매립형태는 인공갯벌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시민대책위는 매립면적도 다시 검토할 계획이다. 마산해양신도시가 가포신항 항로준설토 투기장인 만큼 가포신항의 경제성을 되짚어볼 계획이다. 시민대책위 관계자는 "가포신항 미래를 점검해야 한다. 만약 경제성이 없다면 준설 깊이를 조정해야한다. 매립면적이 줄면 갈등도 줄 것이다"며 "이제는 매립형태를 놓고 이야기할 게 아니라 무엇으로 사용할지 먼저 정해야 한다. 자문위원회와 마스터플랜을 도출하도록 애쓰겠다"고 밝혔다.
창원시는 이후 대책에 고심하고 있다. 창원시 해양개발사업소는 "사업은 해야 하지만, 부결된 만큼 차분히 검토해 다시 대책을 내놓겠다"며 "이번에 부결된 '협약 변경안' 내용을 수정해서 다음 의회에 다시 올리겠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그동안 사업자 독촉 공문은 계속 있어 왔다"며 시 재정 손실 가능성에 따른 사업 긴급성을 여전히 강조했다.
창원시의회는 4·11총선 이후에나 다시 열릴 예정이다. 따라서 최소 한 달가량 협의할 시간은 있는 셈이다. 해양개발사업소는 "이후 시민단체와 세부 지구단위 계획까지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논란이 되고 있는 면적·형태 조정 및 마스터플랜 수립에 대해서는 확답을 피했다. 특히, 최근 시민단체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공갯벌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시민단체를) 계속 설득할 계획"이라고 밝혀 계속된 험로를 예고했다.
관련기사
- "마산해양신도시 이번 기회에 재검토를"
- 마산해양신도시 조성사업 '일단 멈춤'
- 창원시의회, 마산해양신도시안 부결
- 의견 달라도 공통분모는 '신중한 검토'
- 마산해양신도시 불합리한 진행… 원도심·환경은 뒷전
- '뿌연 바다' 진해 안골포, 해양신도시는
- 시민대책위, 해양신도시 총력 저지
- "지역발전 동력"…"원도심 타격" 분분
- '토지이용계획 잡혔다' 창원시 발표 논란
- [데스크칼럼]마산해양신도시, 결정됐을 때와 보류됐을 때
- 해양신도시 면적·위치·형태따라 마산지역 미래가
- 해양신도시 개발을 바라보는 전문가 의견
- 마산해양신도시 의견대립 팽팽
- "인공갯벌 가능하다" 마산해양신도시 토론회서
- 마산해양신도시 간담회서도 여전히 평행선
- "마산해양신도시 시민과 함께 고민을"
- "소통 없는 마산해양신도시 중단하라"
- "창원시, 의회무시하고 마산해양신도시 강행"
- 지도 바꿀 마산해양신도시, 시의원들은 "잘 몰라"
- 마산해양신도시 개발 논의 재시동
- 마산해양신도시 기어이 통과되나? 본회의 상정
- "마산 해양신도시안 , 문제점 엄청나"
- 지역갈등 숨긴 마산해양신도시 통과될까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