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갯벌-매립 입장 재확인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을 놓고 창원시 관계자들과 시민대책위원회가 15일 해양개발사업소에서 간담회를 가졌지만 서로 입장을 좁히지 못하고 끝났다.

이날 시민대책위원회는 마산해양신도시 개발예정 위치에 인공갯벌을 만들자는 기존 주장을 설명했다. 창원시도 예정대로 매립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견해를 되풀이했다.

창원시는 현재 계획대로 추진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입장이다. 창원시 설명에 따르면 인공갯벌을 만들면 사업예정지 뒤쪽 주거지에 비가 많이 왔을 때 물이 잘 빠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계획대로라면 매립지를 지나는 커다란 콘크리트 배수로 5개가 바다로 이어져 물을 내보내게 된다. 하지만, 인공갯벌에는 이 구조물을 고정하기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계획대로 매립하면 63만㎡이면 충분하지만 인공갯벌로 가면 99만㎡ 이상 메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간척지를 만든다면 자연 침하를 고려해 땅을 높이 쌓을 수 있지만 갯벌은 그렇지 않아 사업 면적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현재 매립지에 공동주택이 없고 60% 이상 공원 등 녹지대로 가기로 했다"며 "40%만 비즈니스 지역인데 원도심 상권에 나쁜 영향을 주는 업태는 못 들어오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대책위원회는 창원시가 객관적 근거 없이 시민사회와 협의하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개발사업을 계속 추진하려 한다고 반박했다. 인공갯벌을 만들기 어렵다고만 하지 말고 외국 사례가 있는 만큼 제대로 된 과학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시민대책위는 창원시가 매립지 크기를 줄였다 하나 신항 개발에서 나오는 준설토 양에 비하면 여전히 터무니없는 면적이라고 주장했다.

임희자 마창진환경연합 사무국장은 "창원시가 준설토로 60%를 채우고 나머지는 다른 흙을 넣으려고 하는 것"이라며 "그러면서까지 넓은 지역을 개발하려는 것은 언제든 주택용지로 바꿀 수 있게 하려는 의도"라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