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2016년 12월까지 계획…형태·매립축소면적 이견 여전

논란이 이어졌던 창원시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매립 형태에 대해서는 창원시-시민단체 간 이견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고, 4~6월로 예정된 개발계획위원회를 통해 논의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창원시는 매립면적이 애초 계획이었던 112만㎡(34만 평)에서 63만㎡(19만 평)로 줄어든 것에 따라 '실시협약 변경 동의안'을 시의회에 제출해 놓았는데, 시의회 통과 이후 공사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공사 완료는 2016년 12월까지로 계획하고 있다. 전체 사업비는 3500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현재 국비 1600억 원을 요청해 놓은 상황이다.

그동안 논란 중심에 있었던 형태 문제는 여전히 논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지난해 말 외부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사업 전반에 대한 논의 자리가 있었지만, 시는 섬형-시민단체는 해안에 붙이는 형태라는 입장에 변화가 없었다.

이에 따라 시에서는 애초 계획대로 섬형을 추진하고 있지만, 시민단체 측에서는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견해여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즉, 오는 4~6월 열릴 예정인 개발계획자문위원회에서 이 문제가 다시 화두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개발계획자문위는 시·시민단체·도시계획전문가·시의원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시에서는 자문위원회 성격을 '매립 후 어떠한 시설이 들어설지에 대한 의견 수렴'에 방점을 두고 있지만, 시민단체 측에서는 이 자리를 통해 형태·모양·매립축소면적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견해다.

시민단체 "축소방안 검토해야"

허정도 시민대책위 정책위원은 "시는 애초대로 섬형을 추진하겠다는 생각이지만, 형태, 매립면적을 조금이라도 축소할 방법에 대한 논의를 계속 이어가야 한다"며 "국토해양부에서 가포신항 준설토 양을 조정하면 (마산해양신도시 매립 면적을) 최대 1만 평가량은 더 축소할 수 있을 것이라 했기에, 그 정도라도 줄일 수 있으면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창원시 관계자는 "개발계획위원회를 통해 어떠한 시설이 들어설지에 대한 여러 의견을 구할 예정"이라고만 밝혀 온도 차를 보였다. 반면 매립면적 축소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부 더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 정도라도 줄이자는 의견이 강하면 검토 가능하지 않겠나"라고 밝혔다.

따라서 마산해양신도시 형태·매립면적 축소 등에 대한 논란은 잠시 수면 아래에 가라앉았을 뿐이지, 여전히 현재진행형 분위기다.

한편, 17일 마산합포구청에서는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에 따른 어업인 보상 관련 설명회 자리가 마련됐다. 어업인들은 사업이 변경된 만큼 2010년 6월인 보상시점을 2011년 12월 기준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강하게 했다. 시에서는 이에 대한 법률적 검토를 다시 거치겠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