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마산해양신도시 3차 전문가 간담회를 앞두고 시민단체들이 섬형 매립은 확정되지 않았다며 반발하고 있다. 대책위는 창원시와 대책위가 함께 참여하는 제3차 전문가 간담회가 오늘 열릴 예정인데 창원시가 '섬형'으로 개발한다는 내용으로 언론과 인터뷰를 했다면 이는 약속을 어긴 것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지난해 9월, 마산만 해양신도시를 추진하려는 창원시 계획에 대해 지역 시민단체 35곳이 참가해 구성한 시민대책위는 지난달까지 창원시와 전문가 간담회를 두 차례 진행해왔다. 전문가 간담회는 해양신도시의 형태와 매립면적에 대해 이견을 조율하는 자리였고,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3차 전문가 간담회를 앞두고 있다.
그동안 두 차례 열린 전문가 간담회에서 섬형 개발에 대한 시의 근거 부족과 섬형과 육지와 붙이는 호환형의 공사비 산출도 아직 안 된 상태이다. 사실상 바다매립을 주도해 왔던 국토해양부도 준설토를 줄여 매립면적을 1만 평정도 줄일 수 있겠다고 한 바 있다. 그리고 매립 후에도 과거 계획한 고층 건물 건립도 이미 포기하기로 했다. 그렇다면, 굳이 창원시 주무 부서에서 과거 매립 선을 그대로 두고 시민대책위와 팽팽한 선을 그으며 논의를 이어가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섬형 매립만 해도 그렇다. 사실상 창원시가 3차 전문가 간담회 후 30일 열리는 창원시의회 임시회에 상정할 계획인 '마산 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실시협약 변경 동의안'에도 매립형태에 대한 언급은 없다. 핵심은 해양신도시의 공동주택 위주 개발계획에 대해 시민사회단체에서 도심 공동화 현상 우려와 조망권 확보를 위해 공동주택 및 상업시설 배제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발계획 및 사업계획 변경에 따른 실시협약 변경이 불가피하므로 본 사업과 국책사업의 연계추진을 위해 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실시협약 동의안에 대해 시의회의 의결을 받고자 하는 것이다. 변경안을 창원시가 이렇게 시의회에 제출하는 과정은 과거 황철곤 시장의 일방적인 매립정책을 일부 재고한 민의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나머지 민관협력 방안은 매립면적과 비용을 줄여 공공용지를 많이 확보하는 일이다. 특히 남은 과제인 섬형매립과 육지와 붙이는 호환형 매립에도 정확한 공사비를 산출하여 매립에 따른 공사비를 줄여 시민을 위한 정책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