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해양신도시 매립에 대한 논란이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시의회는 시에서 제출한 관련 동의안을 보류했고, 창원시는 '섬형' 매립 계획안을 변경할 수 없음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시민단체의 섬형 매립을 반대하며 '인공갯벌' 조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창원시의회의 송순호 의원은 지난 30일 본회의에서 창원시에서 전문가·시민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섬 형태의 매립을 추진하고 있다며 시가 내놓은 '마산 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실시협약 변경 동의안'에 대한 보류안을 내놓았고, 이 안이 통과되었다.
하지만, 시는 브리핑을 통해서 '섬형 추진'을 공식화했다. 담당부서인 해양개발사업소는 형태 변경에 대해서는 더는 논의하기 어렵고, 섬형 매립이 시급히 추진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 이유로 마산해양신도시는 가포 신항 문제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신도시는 가포신항 준설토를 메워 조성하게 되는데, 신도시 착공이 지연되면 가포 신항문제로 이어져 창원시가 이에 대한 손실 부담을 떠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동의안이 통과되면 즉시 섬형 윤곽을 두르는 작업이 시작되므로 물리적으로도 형태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마산해양신도시건설반대시민대책위는 시의 일방적인 사업추진에 제동을 걸었다. 시민대책위는 매립 형태 및 매립지 활용에 대한 마스터플랜 확정 후 시의회 상정을 요구했다. 그리고 '인공갯벌' 조성이라는 대안을 제시했다. 즉, 준설토 투기장을 육지가 아닌 바다의 일부인 인공갯벌로 조성하자는 제안이다.
시는 시민대책위가 제시한 '인공갯벌' 조성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마산만을 매립하지 않고, 바다 일부인 인공갯벌로 조성한다면 창원시가 우려하는 가포신항 준설토 문제를 해결하고, 마산 바다의 본래 모습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대안이다. 그리고 인공갯벌은 국가가 추진하는 정책이므로 정부와 연계할 수도 있다.
창원시는 더이상 마산만 매립에만 몰두해서는 안 된다. 마산만 매립이 창원의 현재와 미래를 살아갈 지금의 우리와 후배들에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인지 고민해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