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검증보다 지역·정당 힘겨루기 양상…8일 본회의 상정

8 대 3. 모두 11명인 창원시의회 균형발전위원회(위원장 박해영)가 지난 2일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실시협약 변경 동의안'을 가결할 당시 무기명 투표의 결과다. 이는 공교롭게도 새누리당과 야권 의원들의 수와 똑같다. 새누리당 8명, 통합진보당(2명)과 민주통합당(1명) 3명이다.

34 대 21. 총 55명인 시의회에서 새누리당과 야권 의원 비율이다. 오는 8일 '마산해양신도시 동의안' 본회의 상정을 앞둔 가운데 시의회는 긴장된 분위기다. 특히, 수적 열세인 야권 의원들은 주말 동안 본회의 통과를 막을 묘책을 짜느라 바빴다. 반면, 새누리당 의원들은 "더는 박완수 시정에 제동을 걸어선 안 된다"고 중지가 모이면서도 마산·창원·진해지역 의원들의 갈등이 여전히 엿보인다.

이 안건이 통과되면, 시의원들이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의 본질 검증을 포기하고 정당이나 지역구 이익만을 따져 무작정 표결에 임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실제로 시의회는 불과 두 달 전인 3월 7일 본회의에서 같은 동의안을 부결했다. 무기명 전자투표를 거친 결과 찬성 24, 반대 30이었다. 마·창·진 의원들의 갈등이 이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는 분석이 잇따랐다. 창원과 마산지역 의원이 각각 21명, 진해지역은 13명이다.

이런 사정 때문에 시의회가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을 제대로 검증하기보다 주변 요인으로 결정 지으려는 모습을 드러낸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야권 의원은 "해양신도시가 궁극적으로 주민들 삶의 가치를 높이는 사업인지 따져야 한다. 지난 부결은 사업 본질에 대한 철학적 고민과 분석에 따라 나타난 것이 아니었다"며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여야 의원 비율 역시 해양신도시 결정에 대한 배경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소위 '빅3 사업'(통합 시청사, 야구장, 상징물) 등을 몰아붙이는 창원시 행정에 대한 반발 심리가 부결로 이어졌다"고 짚었다.

통합 시청사 등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마·창·진 의원들의 힘겨루기는 여전하다. '마산해양신도시 동의안' 통과 여부도 이런 기 싸움에서 예외가 아니다. 지역 의원들이 결과를 내다보는 데도 차이가 있었다.

창원지역 한 새누리당 의원은 "해양신도시는 매립 면적을 더 키울 필요가 있지만, 공공시설이나 야구장을 짓자는 의도가 숨어 있다. 5개 구 형평성을 고려해 나중에 함께 정해도 늦지 않다"며 "로봇랜드, 창동과 어시장 등에 이미 많은 예산을 갖다 부었는데, 마산 의원들은 고집을 부려 주먹구구식으로 의정 활동하는 것은 아닌지 반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산지역 한 새누리당 의원은 "이전에는 통합 청사에 관한 마·창·진 의원들의 기 싸움이 있었지만, 집행부가 그동안 설득을 했고, 반대 토론 없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한다. 너무 오래 끌었고, 더 이상 시정의 발목을 잡아선 안 된다"고 했다.

진해지역 한 새누리당 의원은 "예측하기 어렵다. 마산과 창원 의원들이 대립하는 상황이고, 같은 당이라도 해양신도시와 관련해 아직 대화를 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