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문위 구성 놓고 시민단체·창원시 이견 속 '반쪽 회의' 예상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동의안이 창원시의회 통과 이후 사업 쟁점들이 마산해양신도시 자문위원회로 넘겨져 논의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창원시와 시민단체가 이견을 보이면서 공전이 계속될 전망이다.
자문위원회는 시와 시민단체의 엇갈린 주장을 논의를 거쳐 접점을 찾아내고자 만들어졌다. 시민단체, 민간 전문가, 시의원, 상공인 등 13명으로 구성돼 있다. 애초 시민단체에서는 두 명이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토지이용계획에 대해서만 논의한다는 시의 주장에 반발해 참석을 거부해 왔다. 자문위는 지난 4월 19일과 26일 두 차례 시민단체 대표가 참석하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됐다.
자문위 활동기한은 정해져 있지 않지만, 개발계획 수립까지 내용을 확정하는 것이다. 시는 올 연말까지 자문위원회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단위 계획 수립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여전히 의견이 갈라진 부분은 목적과 인원이다. 시민단체는 추가로 2명의 시민단체대표 전문가 참가를 요구하고 있다. 또 토지이용계획뿐 아니라 매립 면적, 매립 형태를 비롯해 예상되는 문제점을 시뮬레이션하고 검증하자는 것이다.
임희자 해양신도시조성사업 반대시민대책위 공동상황실장은 "제대로 검증하지 않고 시의회를 통과했다. 문제점을 짚지 않고 들러리를 설 순 없다"며 "더 많은 전문가가 참가해 폭넓게 검증해야 하지만 시가 여전히 거부하고 있어 시민단체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반면 창원시는 계속해서 참여를 설득하겠지만 거부한다면 시민단체를 배제하고 진행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창원시 해양사업과 관계자는 "시민단체 참석을 계속 설득하고 있다"며 "시민단체 전문가 1명의 증원은 수용하겠지만, 더 이상의 요구는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이미 시간이 지연되면서 계속 끌려다니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는 3차 자문위원회를 늦어도 5월 하순께는 개최할 계획이다.
한편, 시민단체는 앞으로 시민여론 형성을 위해 현장 대응을 계획하고 있다.
관련기사
- "해양신도시 찬성, 망가진 마산만·부채 찬성한 것"
- 마산해양신도시 5월 착공 '가속도'
- 마산해양신도시안 결국 시의회 통과
- 마산해양신도시, 두 달만에 다른 표결 결과…왜?
- [사설]해양신도시사업, 시민들이 지켜볼 것이다
- 결국…창원시의회 마산해양신도시안 통과
- [기고]해양신도시, 지금이라도 최선의 길 찾아야
- 마산해양신도시안, 오늘 창원시의회 본회의 상정
- 해양신도시 반대 대책위 의장실 농성
- "마산 해양신도시안 , 문제점 엄청나"
- 지역갈등 숨긴 마산해양신도시 통과될까
- [데스크칼럼]마산 해양신도시 8일 결정?
- 마산해양신도시 기어이 통과되나? 본회의 상정
- 마산해양신도시 계획 '전국 공모'로 가나
- 창원시의회 개최…마산해양신도시 향방은?
- 창원시의회 임시회 30일부터 개최
- [사설]매립 경제성 살피는 해양신도시 조성해야
- 마산해양신도시 개발 논의 재시동
- 해양신도시 공사로 마산 돝섬 폐쇄위기
- 마산해양신도시 갈등 감사원 가나
- 시민단체, 마산해양신도시 재검토 압박
- [취재노트]마산해양신도시 조성과 4대강 사업
- 시민단체, 해양신도시사업 전면전 선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