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해양신도시 개발 논의 재시동이 되면서 시민사회는 마산해양신도시 조성사업에 대해 좀 더 근원적인 형태문제·사업비 축소 방안에 대해 다시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공개된 워터프런트 사업 용역 중간 결과에는 마산해양신도시 연계문제가 배제돼 있다. 창원시의회 임시회에 '마산해양신도시' 안건이 재상정되면서 부결된 지난달과 비교해 시민단체가 불참한 자문위원회 가동 외는 달라진 사실이 없다. 똑같은 갈등이 재연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창원시는 최근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두 번 자리를 마련했다. 하지만, 시민단체는 '자문위원회 목적·활동 범위·위원 구성·의결 방법 등에 대해 시민사회와 협의할 것'을 요구하며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 30일부터 열리는 창원시의회 임시회에서도 돝섬·마창대교와 연계된 해양레저문화 복합 공간과 맞물려 있는 서항지구의 해양신도시 문제를 제대로 풀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시의회에서 한번 보류, 한번 부결된 바 있는 마산해양신도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 국회의원 입장도 제각각이다. 이주영 의원은 지연에 따른 적자 보전, 법적 분쟁 발생 우려 등을 이유로 전면 재검토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안홍준 의원도 원칙적으로 매립 사업은 반대하지만, 이미 추진 중인 사업이기에 시민 의견 수렴해 부분 보완이 필요하다는 정도이다. 이렇게 행정과 지역 국회의원, 시의회, 시민사회가 다양한 생각을 가진 마산해양신도시문제의 해법은 과연 무엇이어야 하는가. 그동안 섬 형태 매립과 육지에 붙여 매립, 인공갯벌조성형 등 매립 형태가 먼저 도출됐다. 하지만, 이것은 순서가 잘못됐다.
가포신항 항로준설토 투기장인 마산해양신도시를 어떻게 활용할지 먼저 논의해야 한다. 토지이용계획에 따라 공사비와 공사기간, 매립형태도 달라진다. 창원시의 복합비즈니스벨트 조성에 시민사회는 해양생태공원 조성을 원한다.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하려면 매립형태는 당연히 인공갯벌 조성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이번 기회에 매립면적도 다시 검토해야 한다. 마산해양신도시가 가포신항 항로준설토 투기장인 만큼 가포신항의 경제성도 되짚어볼 때이다. 경제성이 없다면 준설 깊이를 조정하여 매립면적을 줄이면 될 일이다. 지금은 매립형태를 놓고 이야기할 게 아니라 무엇으로 사용할지 먼저 정하는 것이 우선이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