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 공사에 비난 봇물…연대투쟁 등 재검토 압박
"우리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해양신도시 사업은 끊임없는 말썽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임을 경고한다."
시민사회단체가 창원시의 해양신도시사업에 대해 전면전을 선포하고 나섰다.
김주열 열사사업회는 12일 오전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도 문화재로 지정된 마산합포구 신포동 김주열 열사 시신인양지에 대한 창원시 주장을 비판하며 문화재 영향검토를 다시 한 번 촉구했다.
창원시는 해앙신도시사업은 문화재 지정 이전에 실시계획 인가를 얻었고 문화재 지정 위치로부터 200m 이상 떨어져 있어 관계법상 영향검토 대상이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사업회는 "실제 완벽한 절차를 거친 공사를 진행하다가도 매장 문화재가 나오면 공사를 중단하고 문화재법에 따른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공사를 중단하고 문화재 영향검토부터 먼저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시가 문화재 지정을 확정 공표한 도면에는 환경 보존지역을 300m로 정해 놓아 해양신도시는 이 범위를 50m가량 침범했다"며 "2차 공사 때 협의하겠다는 것은 영향평가를 하지 않겠다는 꼼수일 뿐"이라고 날선 비판을 이어갔다.
사업회는 시의 입장이 바뀌지 않는다면 모든 방법을 동원해 공사를 막을 것과 마산해양신도시반대 시민대책위를 포함해 환경단체와도 연대해 싸울 것을 분명히 했다.
해양신도시사업과 관련한 갈등은 지난 5월 시의회 통과 이후 다소 누그러드는 듯한 분위기였다. 하지만, 최근 창원시가 오탁방지망을 설치하는 등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자 시민사회단체도 잇따라 기자회견을 열어 강경한 어조로 창원시를 비판하고 있다.
지난 11일에는 마산해양신도시반대시민대책위가 기자회견을 열고 공사 중단과 창원시장 면담을 요청했다. 여기서 대책위는 감사원 국민감사 청구와 함께 19대 국회에서 공론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앞서 지난 4일에는 환경단체가 시민들과 함께 해양신도시가 조성될 현장을 배를 타고 돌며 해상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처럼 시민사회단체는 현장 시위와 기자회견을 비롯한 홍보전, 감사 청구 등 입체적인 방법으로 사업 재검토를 압박하고 있다.
하지만, 창원시 역시 이들의 요구에도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창원시는 "해양신도시 사업은 환경영향 평가를 충분히 거쳤고 이미 공기가 많이 늦어졌기에 더는 사업을 미룰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또 문화재 영향검토에 대해서도 "법적으로 하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고 문화재에 큰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며 지속적으로 관심을 두고 모니터링하겠다"는 태도여서 창원시와 시민사회단체의 갈등은 점점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