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청·대책위 평행선…대책위 "준설토, 매립재 대신 다른 용도 이용" 제안

마산해양신도시 면적 조정 여부를 놓고 31일 마산지방해양항만청(이하 항만청)과 창원시, 마산해양신도시반대시민대책위(이하 시민대책위)가 한자리에 모였다.

가포신항(마산항개발 1-1단계 민간투자시설사업) 사업을 추진하는 국토해양부가 제안한 자리라 주목됐지만, 결국 합의된 내용은 없었다.

지난 7월 10일 시민대책위는 박완수 창원시장과의 면담 때 마산해양신도시 매립 면적 축소를 요구했고, 박완수 시장은 국토해양부에 직접 묻기로 했다. 창원시로부터 항로준설 계획 요청을 받은 국토해양부는 마산지방해양항만청에 협의하라고 권한을 위임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마산해양신도시가 가포신항 준설로 인한 것이라는 데 공감하고, 축소할 방법만 있다면 고민하자고 했다.

하지만, 항만청은 가포신항 준설 수심을 더는 줄일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은 없다고 못을 박았다. 준설 폭 조정에 대해서도 현실 가능성이 없다고 했다.

마산지방해양항만청·창원시청 관계자(왼쪽)와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31일 오후 마산지방해양항만청 회의실에서 마산해양신도시 축소 관련 간담회를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항만청 한봉수 항만공사과장은 "350m가 준설 폭이다. 2000TEU급 컨테이너선이 드나든다고 볼 때 여유 폭은 겨우 20~30m다. 당시 국토해양부는 준설 폭을 줄이면 1만 평 매립을 축소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것은 안전 보장이 안 된다. 제일 큰 문제는 선박의 안전이다"고 말했다. 이어 "준설 수심은 항만설계기준에 따라야 한다. 12.5m가 최대치다. 배가 편하게 다닐 수 없는 바다에 누가 오겠느냐. 가포신항 경쟁력을 위해서라도 항로 수심을 더는 축소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민대책위는 물때를 이용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허정도 정책위원은 "12.5m는 간조 때 선박 무게가 최대일 때 계산한 것이다. 물때를 조절한다면 12m로 준설해도 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창원시는 준설 수심을 기존 13m에서 12.5m로 줄이고 나머지 0.5m 부분에 투기사업장 검토 후 결정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우선 12m로 파내고, 차후 마련될 준설토 투기장에 나머지 1m만큼 부으면 되지 않겠느냐"고 제안했다.

또 이찬원 시민대책위 공동대표는 "수년 전부터 매립 문제가 많았기 때문에 정부는 준설토사를 자원으로 보기 시작했다. 오염되지 않은 토사를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앞으로 준설토사를 단순한 매립재가 아니고 다른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꺼번에 준설토 깊이를 확보하는 것보다 마산해양신도시를 줄이려는 방법을 강구하면서 하자. 깨끗한 토사는 염분만 빼면 둑 쌓는데도 쓰이고 있다"고 또 다른 제안을 했다.

이에 대해 창원시 해양개발사업소 김석완 해양사업과장은 "준설투기장 찾는데 어려움이 크다. 0.5m를 투기할 준설 투기장을 못 찾았는데 재활용할 토사를 쌓을 투기장은 더 없을 것이다. 또 준설 수심에 따라 결정되는 마산해양신도시 매립면적은 사업비와 연관되기 때문에 수심 조정을 쉽게 결정할 게 아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