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청 "침수 방지책"…환경단체 "물난리 악순환 부를 것, 해안선 유지·복원해야"

마산만 침수에 대한 쟁점이 재부상하고 있다. 마산해양신도시 건설로 기존 도심이 침수될 수 있다는 우려가 다시 제기되는 가운데 마산구항(창원시 마산합포구 신포동·동서동·오동동 일원)에는 침수 대비 방재언덕이 올해 말 설치된다. 마산 도심 침수를 막고자 매립을 통해 새로운 재해방지시설을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과 기존 마산만을 유지하고 복원하도록 도시계획을 새로 수립해야 한다는 입장이 맞서고 있다.

27일 마산지방해양항만청(이하 항만청)은 마산합포구 동서동 주민센터에서 '마산구항 방재언덕 설치공사 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마산합포구 신포동 신포장어구이부터 오동동 기선권현망수산업협동조합 부근까지 총 1250m에 걸쳐 설치되는 방재언덕과 언덕 앞에 조성될 시민친수공간에 대한 밑그림을 설명하는 자리였다.

오는 12월 착공예정인 마산구항 방재언덕은 마산만을 매립해 언덕 형태로 재해방지시설을 설치하는 게 주 골격이다.

   
 

항만청은 공유수면 매립을 통해 방재언덕을 설치하고 자연재해 재발방지와 지역 주민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 게 이번 사업 목적이라고 밝혔다. 국비 약 592억 원이 투입돼 오는 2016년 완공된다. 마산구항 방재언덕을 위해 마산만 공유수면 5만 8000㎡(1만 7545평)가 매립된다.

항만청 항만공사과 관계자는 "마산구항은 내습 때 외해의 심해파랑 영향을 직접 받는 지역이며 지반고가 다른 지역보다 낮아 상대적으로 침수 우려가 크다. 전면에 방파제 3개소가 있지만 높이가 낮아 역할이 미흡하다"며 "마산구항 앞에 4m짜리 방재언덕을 쌓아 해수범람을 막아야 한다. 언덕 앞 매립지는 녹색수목공원이나 스포츠공원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반면 경남지역 환경단체들은 방재언덕은 오히려 더 큰 재앙을 불러올 수 있으며 근본적인 침수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마산만 침수대책에 대한 종합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마산구항은 2003년 태풍 '매미' 해일로 대규모 침수가 발생한 지역이다. 당시 마산 도심 3분의 1 이상이 침수되고 3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재산피해 규모도 1700여억 원에 이른다. 당시 만조와 해일이 겹치면서 최대해수면이 4m를 훨씬 넘었는데 4m 높이의 방재언덕이 설치된다고 침수 우려가 없느냐"라며 "날이 갈수록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 둑을 쌓는 게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바다를 메워 인공적으로 재해를 막는다면 더 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방재언덕은 도심 배수 능력을 약화시켜 육지 물이 바다로 빨리 빠지지 못해 결국 마산구항 일대가 침수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도내 환경단체는 기존 마산만 해안선을 그대로 유지하고 복원하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려면 완충지대가 필요하며 이는 매립 등 인공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앞으로 마산 도시계획은 해안매립으로 방향이 전환돼서는 안 되며 연안 리모델링을 통해 마산만 원형을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마산구항에 방재언덕이 설치되고 마산서항에는 한가운데 해양신도시가 조성되는 마산만, 앞으로 침수에 대한 논란은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