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만 수면이 높아져 시가지가 물에 잠길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행정과 시민사회 간에 논쟁이 치열하다. 창원시가 마산해양신도시를 육지에 붙여 매립하면 기존 시가지 63㏊가 침수된다는 사실을 최근에 공개하자 그동안 시민사회는 해양신도시 침수 문제를 은폐했다는 문제 제기이다.
여기에 덧붙여 마산지방해양항만청이 마산구항 지역에 침수 대비 방재언덕을 올해 말 설치하겠다는 계획도 논쟁을 가열시키고 있다. 마산 도심 침수를 막고자 매립을 통해 새로운 재해방지시설을 만들어야 한다는 견해와 기존 마산만을 유지하고 복원하도록 도시계획을 새로 수립해야 한다는 견해가 맞선 상황이다.
오는 12월 착공예정인 마산구항 방재언덕은 마산만을 매립해 언덕 형태로 재해방지시설을 설치하는 게 주 골격이다. 즉 마산 구항 앞에 4m의 방재언덕을 쌓아 해수범람을 막는다는 것이다. 반면 경남지역 환경단체들은 방재언덕은 오히려 더 큰 재앙을 불러올 수 있고, 근본적인 침수 대책이 될 수 없다며 종합적인 마산만 침수대책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렇게 행정과 시민단체가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는 마산해양신도시 건설과 방재언덕의 공통점은 바다를 메워 인공적으로 재해를 막겠다는 것이다. 이미 마산구항은 2003년 태풍 '매미' 해일로 대규모 침수가 발생한 지역이다. 당시 마산 도심 3분의 1 이상이 침수되고 3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재산피해 규모도 1700여억 원에 이른다.
당시 만조와 해일이 겹치면서 최대해수면이 4m를 훨씬 넘었다. 그런데 4m 높이의 방재언덕이 설치된다면 바다경관과 침수 우려에 대한 깊은 검토가 있어야 한다. 특히 해양신도시와 방재언덕은 매립지 면적이 넓어지면서 도심 배수 능력을 약화시켜 육지 물이 바다로 빨리 빠지지 못해 결국 마산구항 일대가 침수될 것은 뻔하다.
환경단체의 주장이 아니라도 앞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려면 완충지대가 필요하며 매립과 과도한 연안개발로 해결하기는 어렵지 않겠는가. 이미 프랑스, 영국 등 환경 선진국들은 과거 연안에 건설한 건축물을 정부가 사들여 모래톱과 갯벌 등을 되살려 태풍과 해일 등에 대비하는 정책을 구현하고 있다. 마산 도시계획의 방향도 해안매립 아니라 연안 리모델링을 통해 마산만 원형을 복원하는 방향으로 질적 전환이 시급한 시점이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