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마산만 수면 높아져 시가지 물에 잠길 가능성"
마산해양신도시 건설로 기존 도심이 침수될 수 있다는 우려가 다시 제기됐다.
마산해양신도시반대시민대책위원회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창원시는 마산해양신도시를 육지에 붙여 매립하면 기존 시가지 63㏊(19만 575평)가 침수된다는 사실을 최근에야 공개했다. 그러면서 기존 시가지와 70~200m 사이에 수로를 두고 매립하는 인공섬 형태가 안전하다고 주장했다"면서 "육지부 매립과 인공섬 매립 사이에는 최고 내수위 차이가 0.2㎝ 정도에 불과했다"고 주장했다. 침수 우려에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대책위는 창원시의 환경영향평가 과정에 의문을 제기했다. 지난 2008년 해양신도시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가 통과됐지만 통합 창원시가 출범하면서 사업이 재검토됐고, 이 과정에서 해양신도시 침수 문제가 은폐됐다는 것이다.
마창환경운동연합 임희자 사무국장은 "지난 2월 간담회 때 창원시는 수로 폭 확대와 섬형 매립을 제시하면서 기존 시가지와 해양신도시 거리를 당초 40m에서 70~200m로 변경하겠다고 했다. 알고 보니 해양신도시 매립으로 기존 시가지가 침수될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었고, 환경단체들은 4월 해양신도시토지이용계획 자문단 회의 자료를 보고서야 알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는 그동안 시가 침수피해문제를 숨기고 사업승인을 받았다는 말이 된다"며 "해양신도시 간선수로 폭을 40~60m로 했을 때 마산만 최고 내수위는 1.050m이다. 70m 폭으로 변경하면 1.048m로 그 차이는 0.2㎝뿐이다. 기존 시가지에 대한 침수문제가 사라지는지 의문스럽다"고 주장했다.
마산해양신도시가 건설되는 서항지구는 지난 2003년 태풍 매미로 인명과 재산손실이 컸던 곳이며 마산합포구 월영동 해안도로는 매월 사리 때 해수면이 상승해 60㎝ 내외의 침수현상이 발생했다.
이에 대해 창원시 해양개발사업소 관계자는 "시가지와 붙여 매립하면 기존 도심 63㏊가 침수된다는 결론이 나왔다.그래서 시가 섬형 매립을 고집한 것이다. 해양신도시를 건설하기 전과 후의 마산만 침수 상황은 같다"며 "다만 게릴라성 집중호우와 폭풍 해일에 대비하고자 간선수로 폭을 넓혔다. 70m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전문가의견에 따라 변경했다"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