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전 의원 비서관 <스픽스>서 공천 의혹 제기해
"명태균 등 내게 죄 덮어 씌워…잘못 바로잡아야"

7일 시작된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연루된 공천 개입 의혹 등 논란에 집중될 조짐을 보인다. 명태균 씨와 김영선 전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을 보도하던 <뉴스토마토>가 E 씨로 표기했던 인물이 공개 인터뷰를 했다. E 씨는 김 전 의원 비서관으로 회계 업무를 책임졌던 강혜경 씨다.

강 씨는 6일 정치경제 미디어 <스픽스>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사실상 윤 대통령 대선 기간 여론조사 대가가 김 전 의원 공천이었다고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2022년 6월 창원 의창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됐다.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을 제보하고 국감 증인으로 채택된 강 씨는 “2022년 대통령선거 기간인 2월 28일부터 3월 8일까지 미래한국연구소가 3000~5000개 샘플로 자체 ‘면밀조사’를 벌였고 명태균 씨가 ‘정산내용을 달라’, ‘돈 받아 오겠다’며 3월 20일께 서울에 갔다”면서 “(비용이) 3억 6000만 원 정도였는데 명 씨가 돈은 못 받아오고 갑자기 창원 의창 보궐이 발생하니까 가야 한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김영선 전 국회의원 비서관이었던 강혜경 씨가 6일 정치경제 미디어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유튜브  영상 갈무리
김영선 전 국회의원 비서관이었던 강혜경 씨가 6일 정치경제 미디어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유튜브 영상 갈무리

그러면서 “(김 전 의원이) 전화 통화에서 김 여사에게 도움을 받아, 공천을 받아서 이렇게 진행이 된다고 말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또 “(명 씨도) 처음 우리 여론조사를 한 것으로 공천을 받아온 것이라고 말을 했다가 바로 반박하더라”며 “당시 왜 여론조사 대가가 김 전 의원 공천이냐고 따지니까 대가가 아니라고 반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의원과 명 씨 측근이었던 강 씨가 태도를 바꿔 국감까지 나서게 된 배경에는 법적 문제가 얽혀있다. 강 씨는 7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다. 2023년 정기 회계보고 과정에 300여 건 1억 2000만 원 상당 영수증 등 증빙서류를 제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강 씨 설명을 정리하면 김 전 의원 보궐선거 전 정치자금 예금계좌에는 명 씨가 빌려주고 돌려받았다고 주장하는 약 6000만 원, 강 씨 사비 2700만 원, 미래한국연구소 자금 약 9000만 원 등이 후원금으로 입금됐다.

그는 “선거가 끝나고 당선되면 보전비용이 지급되는데 이때 지출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며 “대선 여론조사 하면서 비용을 빌렸던 이들에게 보전비로 되돌려주면서 문제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 대선 과정에 미래한국연구소가 투입한 여론조사 비용을 그해 6월 보궐선거와 함께 치러진 지방선거에 공천을 바란 이들로부터 융통했고, 김 전 의원 당선 이후 보전비용으로 되돌려주면서 회계 문제가 발생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지점이다.

강 씨는 2022년 보궐선거 당시 의문부호가 따라붙었다며 김 전 의원 공천에 ‘입김’이 작용했을 가능성을 재차 시사했다. 그는 “준비를 많이 안 한 상태에서 김 전 의원이 단수 공천이 됐는데 현재 김종양 국회의원이 당시 후보로 유력했다”며 “김 전 의원이 나타나니까 주민도 의아해하고 김 의원도 황당해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 씨는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생각이 제일 컸다”며 “김 전 의원과 명 씨가 죄를 내게 덮어씌우니 진실을 다 말하겠다”고 예고했다. 강 씨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와 별개로 김 전 의원이 최근 자신을 사기·횡령 혐의로 고소했다고 밝혔다.

/최환석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