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여론조사 결과 검색
2019~2023년 미래한국연구소 의뢰 109건

최근 불거진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에 등장하는 인물과 단체를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는 '여론조사'다. 이른바 '맞춤형 여론조사'로 친분을 쌓고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여론조사심의위) 누리집에서 의혹에 연루된 여론조사기관 등 단체명을 검색했다. 그 결과 특정 시점 이후 '교집합'이 두드러졌다.

첫 검색어는 '미래한국연구소'이다. 의혹 중심인물인 정치 컨설턴트 명태균 씨가 회장 직함을 건 기관으로, 명 씨는 자문 역할만 했다고 주장한다. 사업목적을 법률연구·자문업, 여론조사업, 종합광고대행업 등으로 등록했다.

미래한국연구소는 2019년 5월 15일부터 2023년 3월 22일까지 여론조사 109건을 의뢰했다. 2023년 재보궐선거 2건, 2022년 지방선거 29건, 2022년 대통령 선거 29건, 2021년 재보궐선거 9건, 2020년 국회의원 선거 35건 등이다.

조사기관은 모두 ㈜피플네트웍스(PNR)다. 20대 대선 때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후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오차범위 밖으로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은 여론조사기관이다.

서울 여의도에 있는 PNR은 2002년 2월 6일 설립됐다. 여론조사심의위 누리집에 2015년 12월 31일부터 올해 4월 1일까지 등록한 여론조사는 총 321건이다. 이 가운데 33%를 미래한국연구소가 의뢰했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에서 '미래한국연구소'로 검색한 결과. /누리집 갈무리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에서 '미래한국연구소'로 검색한 결과. /누리집 갈무리

2018년 4월 11일 전까지 PNR이 경남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는 없다. 이날 등록된 '경남 진주시 기초단체장선거 정당지지도' 여론조사가 경남지역 조사 시발점이다. 조사의뢰자는 <경남뉴스원>이라는 매체로, PNR은 해당 매체 의뢰로 2018년 여론조사 총 5건을 등록했다.

PNR과 미래한국연구소 접점은 2019년 5월 15일 등록한 여론조사다. 창원 의창, 창원 합포, 창원 회원, 창원 진해 등 창원지역 국회의원 선거 정당지지도 여론조사 4건이다.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에 연루된 김영선 전 국회의원 이름이 언급되는 공식적인 여론조사 기록은 2019년 12월 3일 등록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국회의원 선거 정당지지도'이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거론된 황기철·김종길 씨 등 2명과 자유한국당 소속이었던 김 전 의원 가상대결 지지도 조사가 포함됐는데, 김 전 의원이 앞서는 결과가 나왔다.

창원 진해 선거구는 당시 현역 김성찬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해 여러 후보가 난립할 정도로 치열했다. <경남연합일보>, 미래한국연구소가 의뢰하고 PNR이 조사해 2020년 1월 16일 등록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국회의원선거정당지지도' 조사에서 김 전 의원은 다른 당 후보와 가상대결뿐만 아니라 당내 후보 지지도 조사에서도 1위였다. 2020년 2월 29일 여론조사 결과도 마찬가지였지만, 미래통합당은 이달곤 후보를 공천했다.

이후 김 전 의원 이름은 2022년 6월 재보궐선거를 앞둔 4월 15일 <경남연합일보>와 미래한국연구소가 의뢰하고 PNR이 조사한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성산구 용지동 국회의원선거 정당지지도' 보고서에 재등장한다. 박완수 당시 국회의원이 경남도지사 출마 의사를 밝혀 보궐선거가 전망된 시기로 김 전 의원은 결국 그해 5월 10일 공천을 받는다.

후보 적합도를 묻는 PNR 여론조사 결과 김 전 의원은 민주당 후보였던 김지수 전 경남도의원을 앞섰다. 추가 여론조사 결과도 마찬가지였고 실제 당선됐다.

미래한국연구소는 지역과 수도권 언론, 시사정치 유튜브 채널과 공동으로 여론조사를 의뢰했다. 기초단체장 선거 같은 지역 여론조사는 지역 언론사와, 대통령 선거와 정당지지도 등 여론조사는 수도권 기반 언론사와 공동으로 여론조사를 의뢰하는 식이다.

한 지역 정치권 인사는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으로 가뜩이나 수요처 입맛에만 맞는 여론조사로 신뢰도가 낮은 상황에 의문부호가 더 강해졌다"며 "여론조사 '리서치' 기관과 언론사 등 공표기관 관계 같은 기존 체계를 점검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환석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