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회 꾸리고
경선 일정, 규칙 등 마련하는 작업 착수
국힘 5월 3일, 민주 4일 후보 확정 가닥
공정한 경선 규칙 정하느냐에 관심 집중

주요 정당들이 6월 3일 열릴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를 내달 초 확정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9일 대선 후보 선출 작업을 도맡을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했다. 4선 박범계(대전 서구 을) 의원이 위원장, 3선 김정호(김해 을)·재선 임오경(경기 광명 갑) 의원이 부위원장을 맡았다. 우서영 당 밀양·의령·함안·창녕 지역위원장은 위원으로 참여한다. 위원회 구성은 당무위원회 의결로 확정된다.

민주당 선거관리위는 각 경선 후보 캠프 관계자들을 만나 일정과 규칙 등을 확정할 예정이다. 경선 일정은 내주 중 후보 등록을 받고 2주 동안 4개 권역(호남, 충청, 영남, 수도권·강원) 순회 경선을 한 뒤 5월 4일께 후보를 확정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5월 4일은 대선 후보로 나서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사퇴해야 하는 시한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연합뉴스

여론조사 규칙이 쟁점이 될 전망이다. 20대 대선에서는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당원 여론조사 50%로 예비경선을 치렀다. 이날 당 대표직을 내려놓고 대선 경선 출마를 공식화한 이재명 전 대표와 이에 도전하는 다른 후보 간 이해관계가 다르다. 규칙을 얼마나 공정하게 조율하느냐가 관건이다. ‘비이재명계’ 도전자들은 이 전 대표가 당권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는 만큼 당원과 일반 국민 구분없이 ‘100% 국민 투표’로 후보를 선출하자는 기류가 강하다. 이에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또 대선에 출마하려는 당 대표 사퇴 시한을 ‘대통령 선거일 전 1년 전’으로 규정한 당헌 관련 판단도 남아 있다. 특별하고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 당무위원회 의결로 시한을 달리할 수 있다는 조항을 활용해야 한다. 이 문제를 정비하려 민주당은 특별당규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 4선 이춘석(전북 익산 갑) 의원이 위원장, 3선 맹성규(인천 남동 갑) 의원이 부위원장을 맡았다.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9일 첫 회의를 열어 경선 일정을 의결했다. 5월 4일이 공직자 사퇴 시한인 점을 고려해 전날인 3일 전당대회에서 후보자를 최종 선출한다.

14~15일 후보자 등록을 받고, 16일 서류심사를 거쳐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한다. 서류심사에서는 마약 범죄, 성범죄 등 사회적 지탄을 받은 범죄 전력 등을 토대로 부적격자를 걸러낸다.

특히 여론조사 관련 불공정 시비를 없앨 이른바 ‘명태균 방지 조항’을 도입한다. 여론조사를 할 때는 각 후보 캠프에서 사전에 당 기획조정국에 의무적으로 신고하도록 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대선 경선에는 출마 후보자가 대선 날짜부터 1년 6개월 전 선출직 당직을 사퇴해야 한다는 이른바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