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특별당규준비위 국민경선→국민참여경선 변경
당무위원회와 전 당원 투표 거쳐 14일께 최종 확정
이재명에 유리한 규칙에 김동연·김두관 '거센 반발'
김경수 "당 결정 존중"…권리당원 외 당원 확대 제안
더불어민주당이 국민 여론조사와 권리당원 투표를 각각 50%씩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으로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를 선출한다. 이 잠정 확정안을 두고 김두관 전 국회의원·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비이재명계’(비명)계 후보 측은 반발했다. 이들은 민주당을 포함한 범야권 후보가 함께하는 ‘완전국민경선’ 또는 국민 선거인단을 모집해 치르는 ‘국민경선’을 주장한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12일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 규칙을 확정·의결했다. 권리당원은 12개월 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이들이다. 경선 규칙은 당무위원회와 전 당원 투표를 거쳐 14일 최종 확정된다.
이춘석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은 "한 나라의 대통령은 시민이 선출하고 정당의 공직 후보는 당원들 의사를 반영하는 게 민주주의와 정당 정치의 기본 전제"라며 "이를 바탕으로 시대적 상황과 요구에 따라 기존 당규상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꾸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국민참여경선’은 당 주류인 ‘친이재명계’가 도입을 주장했다. 전체 당원이 200만 명이 넘고, 이 가운데 권리당원이 125만 명에 이르는 만큼 대선 후보를 선출에 이들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는 뜻에서다. 반대로 국민경선은 선거인단으로 모집된 일반 국민과 대의원·권리당원에게 동일한 ‘1인 1표’를 보장하기에 ‘비이재명계’가 선호한다.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는 ‘역선택’을 우려해 권리당원 참여 비중이 큰 ‘국민참여경선’으로 경선 규칙을 잠정 확정했다. 비이재명계 후보 측은 당원 지지율이 높은 이 전 대표에게 유리한 규칙이자 자신들은 ‘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어대명)의 희생양이 됐다고 반발한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역선택이 우려된다는 막연한 구실로 국민경선을 파괴하려는 결과를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도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 룰을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지금의 민주당 모습은 너무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이어 "민주당이 야당 지도자를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한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가서는 안 된다"며 "어대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하겠다"고 말했다.
완전국민경선을 요구한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9일 민주당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반면 이재명 전 대표는 ”선수가 심판 규칙에 뭐라고 말하겠느냐“며 ”어떤 결정도 다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비이재명계'로 분류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13일 출마 선언 직후 ”경선 규칙은 당 결정에 따르겠다고 여러 차례 말했다“면서 김두관·김동연 두 사람과는 결을 달리했다. 다만 당원 비중을 두고는 ”경선 과정에 더 많은 당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125만 권리당원 외 당비 납부 전력이 있는 당원에게도 투표권을 주는 게 필요한 거 같다“며 "그게 역선택 등 우려를 막는 방안일 것"이라는 의견을 덧붙였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 김경수 대선 출마…“5대 메가시티에 각각 연 30조 예산 지원”
- 이재명 "위대한 국민의 훌륭한 도구될 것" 대선 출마 선언
-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대선 후보 5월 4일 윤곽 나온다
- 조기 대선 6월 3일 확정…빨라지는 대권 주자들 출마 시계
- 김두관·홍준표·김경수까지...경남도지사 출신 '대권' 노린다
- '중도 선호' 오세훈·유승민 불출마...쇄신 없는 국민의힘 경선
- 민주, 국민참여경선 확정에 김두관 경선 거부…흥행에 비상?
-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 TV토론회...양김 견제 받는 이재명
-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확정 "내란 극복, 국민 통합할 것"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