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0%-권리당원 50%안 확정해
김두관 "김대중·노무현 정신 버렸다"
김동연·김경수는 "경선 규칙 수용해"
이재명 독주 공고화 "경선 김 빠질라"
김동연 10%대, 비명·친문 결집 기대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경선이 당장 치열한 경쟁으로 달궈지지는 않을 분위기다. 민주당이 14일 전 당원 투표로 경선 규칙을 ‘일반 국민 50%-권리당원 50%’ 국민참여경선으로 확정하자 이를 거부하는 후보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이날 중앙위원회 회의를 열고 해당 경선 규칙을 의결했다. 19·20대 대선 때 채택한 ‘국민경선’을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꾼 것이다.

국민참여경선안에 권리당원 114만 749명 중 38만 9033명이 투표에 참여해 96.64%(37만 5978명)이 찬성했다. 중앙위원은 590명 중 510명이 참여해 96.47%(492명)가 찬성했다.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1차 중앙위원회의에서 임시 의장을 맡은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 제정의 건 등 안건을 상정하고 있다. /연합뉴스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1차 중앙위원회의에서 임시 의장을 맡은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 제정의 건 등 안건을 상정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두관 전 의원은 이 같은 경선 규칙에 반발하며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국민경선은 선거인단으로 모집된 일반 국민과 대의원·권리당원에게 동일한 1인 1표를 보장한다. 권리당원만 참여하는 국민참여경선은 그보다 더 일반 국민 여론 반영을 제한한다. 김 전 의원은 그동안 18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하는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국민을 믿고 유·불리를 따지지 않는 것이 노무현 정신이고, 포용과 통합이 김대중 정신”이라면서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을 거부한다”고 말했다. 그는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 규칙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비판했다.

권리당원 비중이 높은 국민참여경선은 당심을 장악한 이재명 전 당 대표에게 유리하다. 김 전 의원 측은 경선 규칙을 정하면서 후보 측과 협의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당 대표 후보와 이재명 후보가 지난해 8월 15일 오전 국회에서 제1회 전국당원대회 후보자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자리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당 대표 후보와 이재명 후보가 지난해 8월 15일 오전 국회에서 제1회 전국당원대회 후보자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자리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전 의원 측은 ‘경선 거부’가 대선 불출마를 뜻하는 건 아니라고 밝혔다. 김 전 의원도 “진정 민주당 미래의 모습이 무엇인지, 대한민국 정치 발전이 무엇인지,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고 국민의 희망을 만드는 일이 무엇인지 고민하려고 한다”며 “당분간 국민과 나라를 위해 제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하는 게 좋을지 조언도 듣고 숙고의 시간을 보내겠다. 그리 길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당내 대권 주자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선 규칙을 수용했다. 그는 “밭을 탓하지 않는 농부의 심정으로 경선에 임하겠다”며 “유불리에 연연하지 않고 당당하게 가겠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이 경선에 참여하지 않기로 하면서 민주당은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 이재명 전 당 대표 3파전으로 경선을 치를 가능성이 커졌다. 그만큼 이 전 대표 독주 체제가 더 공고화하면서 경선에 김이 빠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김동연 경기지사 지지율이 최근 몇몇 여론조사에서 10%대를 기록하고, 추후 경선 과정에 ‘비이재명계’, ‘친문재인계’ 결집이 이뤄지면 나름 의미 있는 경쟁 구도를 형성할 변수는 있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