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와 지역 분권, 중도층 겨냥한 후보들
이재명 후보, 후발주자 견제 받아
정권교체 필요성에는 모두가 공감...경선 방식은?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경선 후보 3명(김경수·김동연·이재명)이 브라운관 너머에 유권자들을 만났다. 후보들은 정권교체의 필요성에 공감했으나 경제 해법이나 개헌 방안 등에서는 다소 이견을 보였다.

김경수·김동연·이재명 후보는 18일 오후 8시 30분부터 80분 동안 MBC에서 주최한 토론회에 출연했다. △정치 △경제·외교·안보 △사회 분야 3개 주제로 토론이 이어졌다. 세 후보는 동의와 견제를 주고받으면서 토론에 임했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인 이재명(오른쪽부터)·김경수·김동연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에서 첫 TV토론회를 시작하기에 앞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제휴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인 이재명(오른쪽부터)·김경수·김동연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에서 첫 TV토론회를 시작하기에 앞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제휴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의 강점은 = 김경수 후보는 수도권 일극 체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김경수 후보는 수도권에 집중된 성장축 대신 5대 권역별 메가시티를 만들어서 새로운 성장축으로 키워갈 필요가 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지역 할당제, 행정수도 이전 등 지방분권 정책을 실현하는 방안을 강조했다.

김동연 후보는 경제관료 출신인 점을 부각하면서 다른 후보들과의 차별화에 나섰다. 그는 대통령실 경제금융비서관, 국무조정실장, 경제부총리 등을 지낸 이력이 있다. 나머지 두 후보에게 트럼프 관세 정책이나 감세 정책에 목소리를 냈다.

이재명 후보는 중도층의 표심을 겨냥했다. 그는 김경수·김동연 후보에게 더불어민주당의 정체성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이 후보는 성장과 발전에 방점을 찍으면서 보수의 가치에 가깝다는 입장을 냈다.

◇양김 견제받는 이재명 = 후발주자로 대선에 나선 김경수·김동연 후보는 이재명 후보를 상대로 견제에 나섰다. 두 사람은 개헌, 대통령실 이전, 경제 정책 등을 이 후보에게 질의했다. 이 후보는 김경수·김동연 후보가 강조하는 부분을 공감하면서도 개헌이나 증세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김경수·김동연 후보는 ‘개헌’을 반드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이재명 후보는 제도만으로는 쉽지 않다면서 한 발 비켰다.

김동연 후보는 “이재명 후보와 분권형 대통령제로 개헌하고 임기 단축을 약속했고, 선거법 개정도 합의를 봤다”라며 “그런데 대표를 두 번 연임하면서도 합의를 지키려는 노력이 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제가 대통령이 되지 못해 이런 약속을 지킬 수 없는 상황이었다”라며 “지금 당장 개헌하고 싶어도 법 개정을 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개헌할 수 없다”고 답했다.

세 후보는 대규모 추경 집행의 필요성에 고개를 끄덕였다. 하지만 이 후보는 “정부의 부담을 민간에 떠넘기는 증세는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면서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기도 했다.

김경수 후보는 “지금의 국가적 위기를 해결하려면 적극적인 재정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말했으며, 김동연 후보도 “유력 정치인이 감세 얘기를 하면서 많은 공약을 내세우는 것은 정직하지 못하다”고 짚었다.

이재명 후보는 대통령실 이전의 필요성에 공감했지만, 세종으로 집무실을 옮겨야 한다는 김경수 후보의 주장에는 당장은 어려울 거라는 답을 내놓기도 했다.

◇정권교체 필요...경선 방식 지적도 = 이들은 정권교체의 필요성에 뜻을 모으면서 토론을 마무리했다. 김경수 후보는 “모두가 이기는 경선으로 가겠다. 민주 세력과 헌정 수호 세력이 하나 되어 그 힘으로 정권교체 이후 국정 운영 과정에서도 연대하겠다”고 말했으며, 이재명 후보는 “민주당 후보가 이번에 대선에서 이겨야 한다. 누가 되든 힘을 합쳐서 정권 탈환하겠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김동연 후보는 경선 방식을 지적하면서 마무리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이니 들러리 서지 말라는 말을 들었다”라며 “국민 경선제가 무너지면서 이미 경선에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유불리 따지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전과 철학을 국민에게 줬다. 어대명이 아니라 어대국(어차피 대선은 국민)이다”라고 덧붙였다.

/김다솜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