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지방의원 38명 참석
“거대 야당 때문” 탄핵 포장하는 발언도 이어져
강성 지지층 따라 정치적 이익 노린 계산인가
지상파3사 조사, 중도층은 탄핵 탄성 여론이 우세
“선 긋지 못하면 현명하지 못한 처사”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현장에 나오는 국민의힘 지역 정치인이 늘고 있다. 지난달 11일부터 일요일마다 창원광장에서 열리는 탄핵 반대 집회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정치인은 38명이다. 이들은 집회 현장에서 강경한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윤 대통령 계엄을 거대 야당을 견제하려는 수단으로 포장하거나 색깔론을 가져와 두둔하는 식이다.

주요 발언을 보면 진상락(창원11) 경남도의원은 “180석 민주당이 무슨 짓을 하고 있느냐, 대통령 하고 싶어서 탄핵하지 않느냐”며 “민주당 대통령이 나오면 무슨 짓을 할지 모른다”고 주장했다.

박남용 원내 총무 등 국민의힘 경남도의원과 손태화 의장 등 창원시의원 20여 명이 지난달 11일 창원광장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참석해 '계엄 합법' 등 구호를 외치고 있다. /최환석
박남용 원내 총무 등 국민의힘 경남도의원과 손태화 의장 등 창원시의원 20여 명이 지난달 11일 창원광장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참석해 '계엄 합법' 등 구호를 외치고 있다. /최환석

이미애(비례) 김해시의원은 “김해는 빨갱이들이 많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미나(비례) 창원시의원은 탄핵 반대 집회에 불참한 동료 의원을 겨냥해 “우두머리가 잡혀가 있는데 함께하지 않으면 양심이 있는 거냐”고 말하기도 했다.

이처럼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들이 강성 발언을 이어가는 배경에는 정치적 이득을 고려한 계산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탄핵 이후 꺾이지 않은 당 지지율도 이 같은 선택에 힘을 보태는 듯하다. 

조재욱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강성적인 모습을 보이는 만큼 지방의회 의원들도 중앙정치 안에 예속될 수밖에 없다”며 “특히 지방의회 의원은 지역구 위원장이 자신의 공천권을 쥐고 있기에 그들이 강성이면 따라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권이 교체되고 나서 치러지는 첫 번째 선거에서는 대개 정부·여당이 승리하는데, 경남의 지역 정치인들은 2018년 지방선거를 생각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정권 교체로 자기 입지가 줄어들 수도 있고 당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보수가 분열돼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3일 서울구치소에서 윤 대통령을 접견했다. 윤 대통령은 국민의힘 지도부를 만나 “헌법재판관의 편향성이 우려된다”, “의회 독재로 국정이 마비되는 것을 그냥 바라만 볼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나경원(서울 동작구 을) 국회의원이 윤 대통령 주장을 취재진에게 전달하면서 당내에서 부적절한 처신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국민의힘 지도부 행보가 중도층 결집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상파 방송 3사가 설 연휴를 맞아 진행한 조사 결과 탄핵 기각보다는 인용에 더 많은 응답이 나왔다. 특히 중도층 사이에서는 정권 교체와 탄핵에 동의하는 경우가 두드러졌다. 

KBS·한국리서치 조사를 보면 탄핵 인용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60%였으며, 탄핵 기각은 36%였다. 특히 중도·무당층에서 정권 교체(57%)와 정권 재창출(29%)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왔다. 

MBC·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조사 결과에서는 ‘탄핵을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는 응답이 58%를 기록했다. ‘탄핵을 기각해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는 응답은 39%였다. SBS·입소스 조사 결과에서도 탄핵 기각 또는 각하(37%)보다 탄핵 인용(59%)에 무게가 더 실렸다. 중도·무당층에서 정권 교체(55%), 정권 재창출(36%)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나왔다. 

정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에서 근소하게 차이 나는 만큼 대통령 선거 국면에 접어들수록 중도층 결집이 결과를 좌우할 전망이다. 지난달 21~23일 한국갤럽이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40%, 국민의힘 38%가 나왔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평론실장은 “국민의힘 지도부 행보는 계엄을 옹호하는 것처럼 비칠 가능성이 크다”며 “국민의힘 지도부가 강성 지지층과 선을 긋지 못하면 현명하지 못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 지도부가 강성 지지층에 붙들린 듯한데 그러면 선거를 제대로 치를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다솜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