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소통망 글 올려 "이 대통령 '5극 3특' 핵심"
"부울경이 메가시티로 가는 출발점·핵심 기반"
문재인 정부 '남부내륙철 예타 면제 주도' 경험
기재부 장관 지방시대위 '당연직 위원' 참여 등
부울경 숙원 사업 예타 통과에 힘 실릴지 '주목'

김경수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장이 부산·양산·울산을 연결하는 부울경 광역철도 건설 사업 예비타당조사 통과를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경남도지사 시절 ‘부울경 메가시티’를 주창해 지방-중앙 상향식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입안하고, 그 실현 요체인 ‘부울경특별연합’을 문재인 정부 정책으로 관철한 바 있다.

기재부는 이주 중 부울경 광역철도 건설 사업 예타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애초 이달 초 발표가 예고돼 있었으나 새 정부 출범으로 정부 부처 장차관 인선 시기와 맞물리며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과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이 각각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야인으로 지내던 지난 2월 국회에서 회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이 각각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야인으로 지내던 지난 2월 국회에서 회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7일 누리소통망(SNS)에 글을 올려 “부울경 광역철도는 단순한 지역의 교통편의 문제가 아니”라면서 “인구 760만 부울경이 하나의 생활권과 경제권으로 연결돼 산업과 일자리, 교육과 의료를 공유하는 메가시티로 가는 출발점이자 핵심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 공약인 ‘5극 3특 균형발전’ 상징임을 강조한 그는 “부울경 광역철도 예타는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 이뿐만 아니라 광역철도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국회와 긴밀히 협력해 필요한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 때 ‘부울경 30분 시대’를 약속했다. 관련해 “부울경은 인구 760만 명을 넘는 비수도권 최대 경제권이지만 광역교통망 부족으로 경제·생활 공동체 형성이 안 되고 있다. 수도권뿐 아니라 국외 사례를 봐도, 메가시티의 공통적인 전제 조건이 광역교통망”이라고 말했었다. 그만큼 지역 정치권에서는 예타 통과를 기대하고 있다.

김 위원장 언급은 기재부 정책 결정에 큰 자극이 될 수밖에 없다. 기재부 장관은 지방시대위원회 당연직 위원 중 한 사람이다. 김 위원장은 또한 도지사 시절 문재인 정부를 설득해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남부내륙철도 예타 면제를 이끌어낸 전력이 있다. 부울경 광역철도 예타 통과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예타 결과 발표가 또 다시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부처 장관 인사청문회 정국에서 섣불리 주요 정책 결정을 내릴 수 없다는 인식에서다.

김 위원장은 “국가균형발전과 자치분권이 구호로 끝나지 않고, 국정 운영 기본 원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