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철강산단 승인안 부결…철강협회·북면온천단지 반발 거셀 듯
창원시가 떠넘긴 창원 북면 철강산업단지라는 '뜨거운 감자'를 경남도가 삼켰다. 경남도 지방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는 창원시가 낸 '철강일반산업단지계획 승인(안)'을 세 시간 여 회의 끝에 부결했다. 이로써 북면 철강산단 계획은 사실상 백지화됐고, 철강산단 입지 문제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철강협회와 북면온천단지의 반발과 법적 대응 등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시민단체가 주장하는 '제2의 수정만 사태'는 막았지만 창원시 표현대로 '롯데마트 창원중앙점 사태'는 재연될 것으로 전망한다.
16일 심의위원회에 참석한 송병권 경남도 도시계획과장은 부결 이유로 두 가지를 들었다. 첫째, 지난 2월 도 심의위원회가 보류한 조건('무동지구 입주예정자의 민원 해소 방안을 강구하라')을 이행하지 못했고 둘째, 승인권자인 창원시장의 의견에도 "행정적인 추진이 어렵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있었다고 했다. 입지여건이나 민원 등을 고려할 때 입지에 대해서는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송 과장은 "업종 변경이나 건축물 형태 변경, 빗물 사용 등 심의위가 내건 다른 조건들은 상당히 보완됐지만 민원해소 방안을 도출하지 못한 점이 크게 작용했다"고 말했다.
도 심의위의 이 같은 결정은 구속력이 없는 권고로, 최종 결정은 박완수 시장의 몫이다. 그러나 이미 시장 의견에서 비치듯 창원시는 북면 계획을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심의위원회가 열린 이날 기자실에서는 창원시가 민원 해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고 재상정한 것은 창원철강유통협회 측 소송에 대비한 '액션'이라는 분석이 돌았다.
한편, 휴먼빌 입주 예정자들로 꾸려진 북면 철강산업단지 유치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심의 결과에 대해 "백번 환영한다"고 말했다.
정종현 비대위원장은 "철강협회는 철강산업단지 대체 부지를 검토해야 하고, 창원시는 이제 철강산단 예정지였던 채석장 부지 활용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며 "옛 채석장 옆 무동지구에는 대규모 아파트와 주택 단지가 들어오기 때문에 시에서 매입해 주민들을 위한 친환경 녹지로 복구하는 것이 낫다. 그건 애초 무동지구를 에코타운으로 조성하겠다고 했던 창원시의 책임이다"고 말했다.
반면 철강산업단지를 추진하는 창원철강협회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결과를 다시 확인하고, 결과에 따라 향후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했다.
창원철강협회는 의창구 북면 무동리 산2 일대 32만 2700여㎡ 부지에 철강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하고 철강과 철판을 가공하는 철강유통업체 40여 곳이 입주할 계획이었다.
앞서 이날 오전 11시에는 '수정만매립지 STX 유치문제 시민사회대책위원회'가 도청 프레스센터를 찾아 "창원 철강산단 조성과 관련한 행정행위나 주변 흐름이 수정만매립지 문제와 유사하게 진행되는 것을 우려한다"면서 창원시에 △철강산단 예정지를 전국에서 가장 모범적으로 원상복구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고 △생태도시, 에코타운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곳으로 북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심의위원회는 전체 위원 28명 중 16명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 창원 북면 철강산단 오늘 결정된다
- 창원 북면 철강산단 찬반 충돌 우려
- 창원시, 도로과 비리·철강산단 견책성 인사
- 민원폭주 창원 철강산단…박 시장 "뿔났다"
- 북면 철강산단 갈등 커지는 이유는
- 철강산단 문제, 전문가들 의견 대립 팽팽
- 창원 무동마을 "우리도 철강산단 조성 반대"
- 창원 북면 철강산단 깊어지는 갈등의 골
- 철강산단 팽팽…틈새 낀 창원시 곤혹
- 철강협회, 산단 추진입장 고수
- "하루 아침에 날벼락…철강산단 철회하라"
- 창원 북면 철강산단 조성반대 움직임 본격화
- [사설]철강산업단지 백지화를 환영한다
- "법보다 중요한 것은 더 큰 공익"
- 창원 북면 철강산단, 결국 법정 다툼으로
- 창원시, 철강산단 행정소송 항소 방침
- "창원시, 북면 철강산단 책임지고 해결하라"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