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빌 입주민, 양측 면담조차 거부하며 강력 반발vs협회, 조성계획 고수

창원시 의창구 북면 철강일반산업단지 추진에 대해 창원철강협회(주)와 무동지구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 간에 찬·반 논란이 첨예한 가운데 창원시 입장은 난처하기만 하다.

무동지구 861가구 휴먼빌 아파트 단지 인근 무동리 산 일대에 32만 2000㎡ 규모로 창원지역 철강유통업체 40여 곳이 입주하는 창원철강일반산업단지가 들어설 계획이다.

지금까지 창원시는 "같은 민원이므로 어느 한쪽 편을 들어줄 수 없다"는 말만 하고 있다. 철강산단 인가 관련 업무를 맡는 창원시 도시정책과 관계자는 "입주민들은 시에서 무조건 인가신청을 반려하면 될 것 아니냐고 한다. 하지만 해결 주체는 사업 시행자인 철강협회다. 협회는 입주민들을 만나려 하는데, 입주민들은 만나주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법률상 하자가 없는 행위를 민원이 있다고 반려할 수는 없다. 입주민 쪽에서 '산단에서 전용도로를 써달라', '녹지 폭을 얼마만큼 해달라'는 식의 요구나 대안 제시가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렇다면 철강산단 인가 신청 이전에 창원시는 왜 이 같은 민원을 예상하지 못 했을까.

철강산단 추진과 무동지구 에코타운 조성에는 창원시 3개 과가 관련돼 있다. 지난해 2월 철강협회가 산단 위치나 규모, 업종 등을 내용으로 담은 투자 의향서를 제출할 당시만 해도 도시개발사업소 산업입지과에서 일을 맡았다. 이후 창원시, 경남도, 낙동강유역환경청, 국토해양부 등 관련 부서들에서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산업단지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특례법 등을 중심으로 입지 타당성을 검토했다.

이번 갈등은 이런 절차를 거치고 지난 2월 경남도 지방산업단지 계획 심의위원회가 심의를 보류하면서 표출됐다. 철강산단 계획 인가 신청이 들어온 10월부터 심의위까지 주민 의견 청취 등이 이뤄졌지만, 휴먼빌 입주민 의견이 빠져 있었다. 지금처럼 입주민들의 강력한 반대 민원이 터져 나올 것을 미리 짚어내지 못한 셈이다.

산업입지과 관계자는 "주변에 군사시설이나 자연보호 시설 등이 있어 법적으로 조건에 안 맞으면, 타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려되는 민원 사항이 있다고 해서 산단 추진에 제동을 걸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에코타운' 조성은 창원시 도시개발사업소 신도시조성과 업무다. 여기서 말하는 '에코타운'은 무동지구 개발에 대한 창원시의 계획이다.

이른바 생태면적률 개념을 도입해 무동지구 안에서 아파트나 개인 주택을 지을 때도 해당 부지 면적의 20~30%가량을 콘크리트가 아닌 녹지 등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또, 신도시조성과 관계자는 "에코타운은 무동지구에 해당하는 얘기다. 철강산단은 무동지구와 위치가 가까워 문제가 되는데, 무동리에 있지만 무동지구 밖 부지"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