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산단조성 원천 반대하며 감사원 감사 청구…철강협회 "협상 통해 논의"
창원시 의창구 북면 철강일반산업단지 조성에 대해 철강협회와 휴먼빌 아파트 입주예정자 사이의 갈등이 커져 가는 양상이다.
입주민들의 요구는 아파트 단지와 가까운 현재 철강산단 예정지를 다른 장소로 바꿔달라는 것이다. 애초 창원시가 북면 무동지구에 계획한 친환경 에코타운을 그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창원철강협회(주)는 현재 예정지를 고수하면서 입주민들에게 협상을 제안하고 있다. 철강협회는 비대위 쪽에 협상을 제안하는 내용증명을 보냈다.
특수목적법인(SPC)으로 창원철강협회(주)를 설립한 창원철강유통사업협동조합 관계자는 "도 심의위원회 우려대로 입주 예정자의 민원 대책, 친환경 산단 조성 계획, 소음·공해 업종 배치 등을 비대위와 언제든지 얘기해서 풀어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산업단지 계획이 불법도 아니고, 용도 가능한 지역이다. 예정 부지에 땅 주인이 60~70명이 되는데, 70~75% 토지 사용 승낙을 받았다"며 "기존 업체들이 팔룡동 등 주택가 근처에 있지만, 공해와 소음이 별로 안 난다. 협상을 통해 소음이나 분진을 줄일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입주민들은 협상이 필요 없다고 밝혀 양쪽을 중재할 묘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입주민 쪽은 오히려 추가 집회 등으로 강력한 반대 의사를 나타낼 것이라고 밝혔다.
정종현 철강협회 유치 반대 비상대책위원장은 "원천적으로 철강협회와 협상할 수 있는 게 없다. 보상을 바라지도 않고, 창원시가 초기 친환경 에코타운이라고 했기 때문에 이곳에 들어오려고 했다. 시가 산업단지를 승인하지 말고 에코타운 원안대로 추진하라는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 위원장은 "카드뮴 등 암과 구토를 유발할 유해물질이 나오는데, 철강단지가 어떻게 친환경이 되느냐. 환경영향평가 보고서에는 입주 기업 72%가 유통이 아닌 철강 가공 업체"라며 "아파트 위치 지대가 철강단지보다 20m 정도 높다. 분지에 산업단지를 조성해 절단, 가공, 조립, 운반 등을 하면, 분진이나 악취가 나갈 데가 없다. 녹지를 조성해도 아파트 1~2층 높이밖에 안 된다. 20층까지 피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철강협회는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만나자고 하는 것"이라며 협상에 나설 수 없다고 밝혔다.
또, 그는 "아파트 건물이 다 올라간 상황에서 주민 설명회에선 배제하고, 경남도 산업단지 심의위원회가 권고하니까 그제야 불과 150m로 가장 가까이 있는 아파트 주민들을 불렀다. 의도적으로 배제해놓고, 시와 철강협회의 이권이 개입했다고 의심 안 할 수 없어 감사원에 감사 청구를 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