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 사유 없고·법적 기준 준수"…친환경 철강산단 조성 계획 강조
"변동 여지가 절대 없다."
창원 의창구 북면 무동지구 쪽에 철강일반산업단지를 추진하는 창원철강협회(주) 관계자는 단호했다. 무동지구 휴먼빌 입주민들의 환경 피해에 대한 우려와 반발로 예정된 입지를 바꿀 가능성은 없다고 못박은 셈이다.
창원철강협회(주)를 만든 창원철강유통사업협동조합 관계자는 "입지 변동 사유가 없고, 부지를 사들이고 설계를 하는 데만 20억~30억 원이 쓰였다"고 밝혔다.
조합 쪽도 휴먼빌 입주민들만큼 완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조합원과 가족 등 1600명은 철강산단에 관한 행정 절차를 진행해달라는 진정서를 경남도와 창원시에 각각 넣었다고 밝혔다. 약 33만 ㎡(10만 평) 가운데 60%를 공장 용지로, 나머지는 산업용 도로와 녹지를 조성하는 데 쓸 계획이다.
조합 관계자는 "대다수 일반산업단지가 법적 기준만 준수하려 하는데, 철강산단에선 도로를 더 넓히고 아파트와 공단 사이 녹지도 충분히 조성해 친환경 철강산단으로 만들 것"이라며 "공해를 일으키는 업체에 분양하지 않고 되팔 때도 그런 업체가 못 들어오도록 막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창원지역 철강유통업체 70여 곳 가운데 대부분이 영세한 규모다. 그렇다 보니 조합을 결성해 창원시내 비싼 임대료 등 문제를 해결할 산단 조성을 2007년 초부터 추진해왔다. 동읍 용강리와 북면 동전산업단지 등이 검토됐지만, 위치가 군 부대 인근이거나 사업 진척이 더뎌 부적격 판단을 내렸다"며 산단 필요성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보완 대책을 놓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화의 여지는 있다. 주민들이 쇳가루가 날려 환경 피해를 우려하지만, 다수 업체가 철강을 가져와 잘라서 파는 중도매상인데, 공장에서 20m만 벗어나도 가루도 소음도 없다. 개별 공장이 들어와 난개발이 되는 것보다 산단을 조성해 표준화·집적화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한편, 조합은 16일 보도자료를 내고 "입주할 업체들은 현재 창원 팔룡동 등에 있는 유통업체들이 대부분이고, 주택가에서 철강유통업을 하는 업체들도 몇 개 있다. 공해가 없기에 주거지역 안에서도 민원발생 없이 철강유통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