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국비 확보 가능 신규사업 발굴
우주항공, 원전, 창원국가산단 등
윤석열 대통령 공약 집중 예산 요청
도 "기재부 찾아 정부 방향 적극 설득"
경남도는 내년 국비 확보 목표를 10조 원으로 잡았는데 나라 곳간은 비상이다. 지난해 실질적인 나라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87조 원을 기록해 애초 예산상 계획한 58조 원보다 29조 원이 늘었다. 국가부채도 2439조 원을 넘기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도는 윤석열 대통령이 민생토론회에서 공약한 사업을 중심으로 국비 확보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도는 지난 11일 2025년도 국비 신규사업 2차 보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박완수 도지사는 회의를 주재하며 2025년도 국비 확보 목표액을 전년보다 6.3% 많은 10조 원으로 설정하고 추진 가능 사업을 발굴·확정했다.
주요 사업은 우주항공, 원자력발전, 창원국가산단, 남해안 관광개발에 집중한 △선도연구센터사업(IRC) △소형모듈원전(SMR) 제작지원센터 △방산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사업 △산단수출기업 탄소규제 대응 지원 플랫폼 구축 △창원국가산단 복합문화충전소 신축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중소기업 재해예방 안전디자인 지원 △경남형 첨단 스마트축산 확산사업 △부산항 신항 항만 근로자 기숙사·복지관 건립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건립 △남부권 보훈휴양원 건립 △거창 적십자 병원 이전·신축 △한아세안 국가정원 조성 △경남 크루즈 기반 구축 조성 △남해안 배경 국제 도로 사이클대회 등이다.
도는 윤 대통령이 민생토론회에서 강조한 방위산업, 원전, 우주항공산업을 경남에 적용할 정책 사업으로 발굴하며 진해신항, 남부내륙철도사업처럼 계속 사업이 조기착공될 수 있도록 국비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2월 창원 민생토론회에서 경남을 SMR 클러스터로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SMR 등 원자력 연구·개발(R&D)에 5년간 4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 창원국가산단을 문화와 산업이 어우러지는 융복합 공간으로 탈바꿈하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정부는 올해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1조 원을 투입하는 남부권 광역관광개발사업계획 발표도 했다.
김명주 도 경제부지사는 지난 9일 기획재정부를 찾아 국비 확보 지원과 공모사업을 건의했다. 이와 관련해 도 관계자는 “1월부터 국회, 기획재정부 등 중앙부처를 150회 이상 찾아 주요 국비 사업에 대한 사전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현장 설명이 필요한 주요 국비사업은 초청 설명을 추진해 중앙부처와 협력체계를 구축해왔다. 윤 대통령이 강조한 산업을 적극적으로 강조한다”고 말했다.
박 지사는 이날 보고회에서 “도민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판단하고, 지역 개발은 시군에서 제안이 들어오기 때문에 시군과 협력해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며 “국비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는 정부예산안이 확정되는 8월 말까지 경남 역점사업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지방재정협의회, 22대 총선 당선자와 상반기 예산정책협의회 등을 열 예정이다. 9월부터는 국회 상황실을 운영하며 정부안에 미반영된 국비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미지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