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병원 479명 중 364명 사직서
대학병원 수술 일정 조정 불가피
경증환자 1·2차 병원 이송 유도
공공병원 진료시간 확대 등 조치
경남도와 도내 상급종합병원이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한 전공의 집단행동에 대비해 24시간 응급실 운영을 유지하고 경남소방본부와 협의해 경증·비응급환자를 3차 상급종합병원 대신 1·2차 병원으로 이송을 유도하고, 공공보건의료기관 진료시간을 확대한다.
19일 오후 6시 기준 경남 10개 병원에서 수련하는 전공의 479명 중 364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경상국립대병원 전공의 151명 중 121명이 사직서를 냈고 창원경상국립대병원 34명 중 21명, 양산부산대병원 163명 중 138명, 삼성창원병원 88명 중 71명, 창원파티마병원 전공의 13명 전원이 사직 의사를 밝혔다. 창원한마음병원, 마산의료원 등 나머지 5개 병원에서 사직서를 제출한 전공의는 없다.
도는 전공의 집단행동에 대비한 비상진료대책을 마련하고 응급·필수의료체계 유지에 애쓰고 있다. 최만림 도 행정부지사는 19일 창원경상국립대병원을 찾아 병원장을 면담했다.
도는 응급의료기관이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도내 권역응급의료센터(삼성창원병원·경상국립대병원·양산부산대병원)가 필수 진료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현장 이송·전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대형병원 응급실을 이용하고 경증·비응급 환자는 지역응급의료기관 25곳 또는 인근 병·의원으로 이송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또 전공의 이탈로 진료가 축소되면 대형병원에 입원 중인 경증·비응급 환자를 인근 종합병원으로 연계·전원하고 마산의료원, 통영·거창적십자병원 등 공공보건의료기관 평일 진료시간을 확대할 계획이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이날 실국본부장회의에서 "최근 여론조사에서 국민 76%가 의사 수를 증원해야 한다고 답했다. 의사 본연 의무는 국민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것"이라며 "의사회가 집단행동을 하면 국민 호응을 받기 어려울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에서도 의사 집단행동이 일어나면 곧바로 대응하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일동 도 보건의료국장은 "전공의 대부분이 3차 병원에서 수련하기 때문에 당장 큰 불편은 없을 것으로 본다"며 "하지만 전공의 이탈이 계속돼 차질이 빚어지면 마산의료원 등 진료시간 확대를 당장 시행하고 보건복지부 세부 지침대로 비상진료대책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에게 진료유지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전공의들은 사직서 수리 여부와 상관없이 20일부터 결근할 계획이어서 의료 현장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 도내 대형병원은 긴급회의를 열고 중증응급수술과 중환자실, 투석실 등 필수의료 과목 중심으로 진료체계를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자체 비상진료계획을 세우고 있다.
경상국립대병원 관계자는 "응급실 운영은 차질 없도록 준비하고 있지만 수술이나 외래 일정 조정은 불가피할 것 같다"고 말했다. 창원파티마병원 관계자는 "전공의 13명이 내일부터 당장 근무를 안 한다고 보고 기존 의사 근무 시간을 늘려 대응할 계획이다"며 "공백이 길어지면 기존 인력 과부하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의대생도 동맹휴학을 결의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지난 16일 총회를 열고 20일부터 각 단위 학칙을 준수한 동맹휴학을 하기로 했다.
경상국립대 의과대학은 재학생 휴업계 제출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다만 학사규정상 20일 휴학 처리는 어렵다고 했다. 대학 관계자는 "재학생들이 의대협 휴업 동참에 긍정적인 걸로 안다"며 "신입생과 졸업생을 제외하고 휴학계를 낼 수 있는 재학생은 400명 정도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사규정에서 휴학을 하려면 지도교수 상담을 먼저 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휴학계 제출까지 며칠이 걸릴 것이다. 19일 현재 휴학계 제출은 없다"고 말했다.
지역 응급실 운영, 동네 문 여는 의료기관 등은 응급의료정보시스템(e-gen.or.kr)에서 알 수 있다.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중증·응급 치료를 받지 못해 피해를 보면 129번으로 전화해 상담하면 된다. 정부는 법률구조공단과 연계해 소송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미지 박신 기자
관련기사
- "의대 입시 과열·증원 반대, 한국교육 파탄 보여주는 현상"
- "의대 정원 확대 반대" 경남 의사단체 집단 행동
- 의협 의대 증원 반대에 간협 "본분 지키라"
- 정부 의대 정원 증원에 ‘파업’ 움직임 있나
- 박완수 지사 "의대 정원·의사 양성 권한 지방자치단체가 가져야"
- 경남도의원들 "정부 의과대학 정원 2000명 확대 환영"
- 경남도·창원시 "의대 정원 확대 환영...창원에 의대 신설도"
- 2025학년도 의대 정원 2000명 는다…대학별 인원은?
- 전공의 집단 이탈 첫날, 경남 큰 의료 공백 없었다
- 경남 전공의 대부분 현장 이탈…대형병원 응급실 운영 안간힘
- 또 거리 나온 의사들 "의대 증원 정책 폐기해야"
- ‘보건의료재난 심각 격상’ 경남도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 마산의료원 '평일 오후 8시까지·토요일'도 진료…의사 집단행동 대응
- 윤석열 "의대 증원 반대 명분 없어"…박완수 "증원 아닌 복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