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원 2000명 확대 환영 입장문
도·시 지속적 건의, 지역사회 한 목소리
"지역의료 격차 줄이려면 의대 신설 필요"

경남도는 보건복지부가 6일 발표한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2000명 확대를 환영하며 지역 필수 의료를 살리는 마중물이 되리라 기대했다. 그러면서 창원지역 의과대학 신설이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도는 그동안 지역 의료 불균형을 없애고자 ‘의과대학 신설 등 의사 인력 확충’을 도정 과제로 정하고 경상국립대 의과대학 정원을 76명에서 150~200명으로 확대와 창원지역 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해 왔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지난달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만나 경상국립대 의과대 정원 증원을 요청했다. /경남도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지난달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만나 경상국립대 의과대 정원 증원을 요청했다. /경남도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지난달 31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만나 경남지역 의사인력 부족 실태를 거듭 설명했다. 지난해에도 정부 부처와 국회를 여러 번 찾아 지속적으로 건의했고, 지역 국회의원 등과 함께 의과대학 설립 국회 토론회도 두 번 열었다. 경남도의회와 창원시의회는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했고 창원상공회의소, 경남경영자총협회 등 지역 단체가 의대 정원 확대 목소리를 냈다.

도는 경상국립대가 요청한 정원 150명 이상을 배정받을 수 있도록 정부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대학에서 양질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도는 정원을 2025학년도 150명에서 2030학년도 200명까지 확대를 요청하고 있다.

박일동 도 보건의료국장은 “확대한 의사 인력이 지역 필수의료 격차를 없애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철저하게 준비하겠다”며 “혹시라도 일어날 수 있는 의사단체 집단행동에 대응해 의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비상진료 체계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남도의원들이 지난해 도의회 앞마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창원시 의대 신설을 촉구하고 있다. /최환석 기자
경남도의원들이 지난해 도의회 앞마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창원시 의대 신설을 촉구하고 있다. /최환석 기자

창원시도 창원지역 의과대학 신설이 정부 필수의료 정책에 반영돼야 한다고 밝혔다. 경상국립대 의대 정원 확대로는 지역 의료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시는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줄이려는 정부 정책이 효과를 보려면 인구 100만 명 이상 비수도권 대도시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창원시에 의대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경남권역 책임의료기관인 경상국립대가 서부경남에 치우쳐 창원지역 의대 신설은 중·동부경남 공공의료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다고 내다본다.

홍남표 시장은 “경남에서는 매년 환자 20만 명이 수도권으로 원정 진료를 나서고 있다”며 “창원 의대 신설은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는 곳이 달라서 인프라가 부족해서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한다면 아무도 그 지역에서 살고 싶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소멸을 막고 지역 내 필수의료체계를 최종적으로 확립하려면 창원 의대 신설은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경남 의사 수는 1000명당 1.74명으로 전국 평균(2.18명)을 밑돌고, 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 등 필수의료과목 전문의 수도 인구 10만 명당 전국 평균보다 낮다. 

/이미지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