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기준 수술 연기, 전원 조치, 피해신고 없어
경남도 행정부지사 지휘 비상진료대책본부 가동
공백 장기화 대비 마산의료원 진료 연장 준비
도, 전공의 대상 성명 내고 "복귀해달라" 요청
경남지역 10개 병원에서 수련하는 전공의 480명 대부분이 사직서를 내고 의료 현장을 이탈해 경남도·경남소방본부는 비상진료기관 운영·비상진료체계 유지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21일 현재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수술 연기·전원 조치·보건복지상담센터 129 피해 신고는 없다.
도 보건의료국은 19일 시작한 전공의 사직서 제출 현황과 집단 휴진, 진료 공백을 실시간 점검하고 있다. 박일동 도 보건의료국장은 21일 도청 브리핑에서 "도내 전공의 사직서 제출이 19일 시작됐고 근무 중단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며 "현재까지 대형 수련병원 4곳(경상국립대병원·창원경상국립대·병원양산부산대병원·삼성창원병원) 수술과 진료는 큰 차질 없이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삼성창원병원에서 20일 기준 수술 2건이 연기됐지만 전공의 이탈과 크게 상관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전공의 집단휴진이 장기화하면 도민 의료이용 불편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이날 양산부산대학교병원과 김해복음병원을 찾아 전공의 공백 상황과 응급의료 유지 상황을 점검했다. 이상돈 양산부산대학교병원장은 "전임의 중심 진료체계를 구축해 환자 불편을 없애고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등 필수의료 유지에 온 힘을 쏟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양산부산대병원은 전공의 집단휴진이 이어지면 수술실 23곳을 절반 정도 줄일 계획이다.
박 지사는 "양산부산대병원에서 최대한 중증 환자 위주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경증 환자는 2차 병원으로 유도해 부담을 줄여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대학병원 진료대응에 차질이 예상되는 만큼 지역응급의료센터와 같은 의료기관의 역할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도는 의료계 집단행동 대응을 강화하고자 비상진료상황실을 비상진료대책본부로 격상했다. 최만림 도 행정부지사가 총괄해 상황실과 비상진료대책, 공공대응을 지휘한다. 24시간 비상진료 유지에 힘쓰고 시군, 소방본부, 의료기관과 협조해 환자 신속한 이송·전원 조치를 할 방침이다.
전공의 이탈 장기화를 대비해 진료공백을 최소화하고자 공공병원 진료시간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마산의료원은 평일 오후 7시 30분까지, 토요일은 낮 12시 30분까지 연장 진료를 시행할 예정이다. 창원에 있는 해양의료원도 민간인 대상 응급진료를 염두에 두고 있다. 앞으로 진료 공백이 장기화하면 보건소도 응급진료 등을 벌일 방침이다.
도 보건의료국은 이날 전공의 대상 성명을 내고 현장 복귀를 요청했다.
지역 응급실 운영, 동네 문 여는 의료기관 등은 응급의료정보시스템(e-gen.or.kr)에서 알 수 있다.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중증·응급 치료를 받지 못해 피해를 보면 129번으로 전화해 상담하면 된다.
/이미지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