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나들이객 부산으로 이탈..민자사업 보전금도 대안 없어
부산∼김해 경전철 개통으로 우려했던 김해시민의 부산지역 상권 쏠림 현상이 현실로 나타났다.
김해시에 따르면 지난 17일 본격적으로 유료화에 들어간 부산∼김해 경전철 운행 결과 경전철을 이용한 김해시민들의 부산 대형상권 쇼핑 나들이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시는 이로 인한 지역 상권 침체를 막기 위해 경전철 수요 창출을 위한 TF팀을 구성, 운영하기로 했다.
우선 김해시민의 부산지역 이동을 막고자 쇼핑몰과 관광호텔, 주상복합건축물로 구성될 부원 역세권 개발을 서두른다. 관광 코스화를 위한 삼계·가야대역에서 봉하마을 간 순환버스도 확대한다. 경전철 역사와 연계한 순환버스 운행과 경전철 타기 범시민 운동도 벌인다.
또 지역 내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전철을 이용한 통학, 체험학습과 경전철과 연계한 문화시설이나 공연, 전시, 스포츠시설 이용 때 할인 혜택도 준다.
김맹곤 시장은 19일 시 간부회의 자리에서 "경전철 개통으로 인한 김해 상권의 위축을 막고자 가야 유적지나 국립김해박물관 등으로 부산시민이 대거 몰려올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그는 "출·퇴근 때 전 공무원이 경전철 타기 운동에도 앞장설 것"을 강조했다.
게다가 앞으로 20년간 매년 600억 원 이상의 경전철 적자부담금을 메워야 하는 시 MRG(최소운영수익보장) 부담도 현실화됐다. MRG 부담은 시 재정 상태를 악성화하는 최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정부의 일부 지원금 요구나 경전철 이용객 증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유료화 첫날인 지난 17일 경전철 이용객은 3만 7768명, 18일에는 3만 3872명이 탄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정부가 애초 경전철 이용객 수요가 하루 17만 6358명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에 비하면 불과 20% 안팎 수준에 그쳐 턱없이 모자라는 인원이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시는 내년부터 600억 원 이상을 경전철 적자부담금으로 물어야 한다. 한 민자사업 전문용역기관은 20년간 김해시의 MRG 부담 비용만 총 1조 2000억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놔 시 건전 재정 운영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문제는 경전철 이용객 증대를 위한 특별한 방안이 없다는 데 있다. 현실적으로 정부의 MRG 보조금 지원 없이는 시 건전 재정 운영은 사실상 물 건너갈 수밖에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 김해시 "망했네.." 경전철 적자 보전금 '비상'
- '부산∼김해·양산 환승할인' 경전철도 포함
- 부산∼김해경전철 개통 5일 만에 고장
- [사설] 김해 경전철 어찌할 것인가
- '역시...' 턱없이 부족한 김해경전철 수요 '우려'
- 부산-김해경전철 막대한 적자 어떻게 하나
- '말 많던' 김해경전철 시승해 보니..
- 레저세율 인하..김해시 울상
- 레저세 인하 움직임에 김해시 울상..왜?
- 김해경전철 내달 9일 개통 확정
- '이번엔 진짜' 김해경전철 내달 9일 개통
- 경전철 결국 개통하나..25일 소음 재 측정
- 경전철 이용객 창출 초비상 김해시 해법은 "…"
- "김해경전철 활천역, 인제대역으로"
- 부산 사상·대저역, 경전철 69.4% 이용
- 김해 경전철 승객잡기 머리 싸맨다
- 경전철 적자 현실화…도, 경마 레저세 풀까
- 김해시 경전철 운행결과 내년 적자부담금 355억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