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규 의원, 자체 분석 자료 공개…"2036년 연 20억 적자"

창원도시철도사업과 관련해 김석규 시의원은 구체적 수치를 제시하며 2026년 이후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BRT(간선 급행버스 체계) 도입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29일 창원시 건설교통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창원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김석규 의원(민주노동당·성산구)은 "시가 예상하는 수요를 최대한 적용하더라도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운영수익에 대해 자체 분석한 자료를 공개했다. 우선 기준은 현재 버스요금인 1100원을 기준으로 하고, 수요는 시가 내세우는 최대 수치를 적용했다.

창원도시철도 예상 노선도 /뉴시스

이에 따르면 운행 첫해인 2018년 연간 수요를 10만 6117명으로 잡았을 때, 요금 수익 426억 원에서 운영비 261억 원을 빼면 164억 원의 수익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65세 이상 노인의 무임승차 분까지 일반 수요로 잡았기 때문이다. 자료에 따르면, 현 노령화 추세 및 부산시 도시철도 사례를 고려했을 때 2018년 최소 30%는 무임승차 분으로 잡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를 적용하면 2018년 수익은 37억 원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적용해보면 결국 2026년에는 적자로 돌아서 2036년에는 연간 20억 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더군다나 포함하지 않은 청소년 할인율까지 적용한다면 적자 폭은 더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김 의원은 경제성이 부족한 현 노면전차 형태가 아니라 총사업비가 적게 들고 운영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BRT나 BMT(바이모달트램)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김 의원은 "그동안 시에서는 BRT나 BMT에 대해 검토한 적이 한 번도 없다"며 예비타당성조사 때 이를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양윤호 건설교통국장은 "현재는 노면전차가 맞다고 보지만, 타당성 평가 때 함께 검토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김 의원은 이 밖에 도시철도사업 등 대형 건설사업에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것을 조례 등으로 제도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2007년 '주민 참여제(PI, Public-Invovlement)'에 대한 매뉴얼을 만들어 각종 도로사업에 반영할 것을 권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양 국장은 "PI가 있지만, 활성화되지 않고 연구단계인 것으로 안다.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