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창원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시의원들, 수요예측 오류 가능성 등 우려 표명

"창원 도시철도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수요 예측을 잘못해 적자가 되면 결국 시민 부담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김석규 창원시의원)

"개인적으로는 도시철도 도입이 왜 필요한지 의문이다."(이옥선 창원시의원)

창원 도시철도 사업에 대해 시의회 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16일 오전 창원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가 시 건설교통국으로부터 업무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였다.

이 문제에 신경을 쏟고 있는 김석규 의원(민주노동당·성산구)은 심각한 교통체증 유발·잘못된 수요 예측 가능성 등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김 의원은 "김해·용인 사례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는 1991년 건설했다가 2006년 폐선으로 1000억 원가량의 철거 비용이 든 사례가 있다"며 "수요 예측 잘못으로 적자가 나면 결국 요금 인상 등 시민 부담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또한, "4차로 가운데 2개 차로를 도시철도에 내줘야 하는 남산동 구간 등은 심각한 교통 혼란이 우려된다"며 "결국 총사업비에 맞춰 BC(경제성)를 높이기 위해 이러한 구간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양윤호 건설교통국장은 "수요 예측은 물론 틀릴 수도 있다. 하지만, 도시철도는 인구가 줄어들 것까지 고려하는 등 상당한 합당성이 있다고 본다. 추후 시 타당성 검토 때 다시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양 국장은 "다른 노선으로 돌리면 사업비가 상당히 늘어나는 부분이 있다. 현 노선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판단한 것"이라며 "이후 실시설계 등의 과정에서 여러 문제에 대한 대안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했다. 도시철도 사업 진행 과정의 주민 참여 부분에 대해서는 "시민단체 등의 자문을 받아 진행해야 할 듯하다. 자문위·공청회를 비롯해 주민에게 알릴 수 있는 절차를 충분히 거치겠다"고 밝혔다.

김 의원의 지적에 대해 다른 의원들도 공감을 표시했는데, 이옥선 의원(진보신당·마산합포구)은 "제2 봉암교·비음산터널·제2 안민터널 등 각종 도로를 계획하고 있는데, 이러한 부분이 종합적으로 고려됐는지 의문"이라며 도시철도 도입 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였다.

한편, 창원 도시철도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사업비 6468억 원(국비 60%·도비 20%·시비 20%)을 들여 마산합포구 가포동에서 진해구 석동까지 30.5km를 이어, 노면전차를 다니게 하는 사업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