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가포신항 용도변경 추진키로 … 정부와의 협상 결과 향방 결정

창원시가 가포신항만 용도를 변경하기로 방향을 정함에 따라 마산 해양신도시 사업자체가 폐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정부와 용도변경 협상이 잘 안되면 창원시는 차선으로 해양신도시 매립 면적을 줄일 계획이다.

마산합포구 구산면 로봇랜드 조성사업은 산업연계형으로 내용이 보완됐다. 또 오랫동안 바다 매립에 따른 환경오염 논란이 있었던 마산 창포·난포산업단지 조성 계획은 미뤄졌다.

박완수 창원시장은 16일 오전 대형사업 재검토 결과를 이같이 밝혔다. 창원시는 100억 원 이상 대형사업 38개 중 27개 사업은 '계속 추진', 11개 사업은 '사업조정'키로 결정했다. 또 18개 산업단지 조성사업 중 9개 사업은 '계속 추진'하고 추진속도가 늦거나 문제가 있는 11개 사업은 '장기 검토'나 '검토 후 추진'한다.

박완수 창원시장이 16일 대형사업 재검토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표세호 기자

특히, 통합 이후 사업 수정을 위한 조정위원회까지 꾸려져 검토해왔던 마산 해양신도시 사업과 관련, 박완수 시장은 "조정위가 제안한 3가지 안 중 준설토 외해 투기는 채택할 수 없어 가포신항을 용도변경하든지 매립 면적을 최대한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지역 국회의원과 시는 일관되게 가포신항 용도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2년 개장 목표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가포신항을 항만이 아닌 다른 용도로 바꾸게 되면 항로 준설과 준설토를 활용하는 해양신도시 매립은 필요가 없게 된다. 박 시장은 용도변경안에 대해 "정부가 8년간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와 수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인데, 용도변경이 안 되면 해양신도시 매립 면적을 기존 43만 평에서 절반 이상 축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시는 이에 따른 재정 부담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박 시장은 "가포신항 용도를 변경하면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수익을 회수할 수 있다. 매립 면적을 축소할 때도 재협상을 통해 정부 지원을 받아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해양신도시 사업 수정과 관련해 창원시는 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등과 TF를 구성 중이다.

창원시는 가포신항 용도변경이나 해양신도시 매립 축소에 따른 토지이용계획도 다시 짤 계획이다. 박 시장은 "가포신항 용도는 정부, 민간투자자와 협의해서 토지이용계획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며 "해양신도시 매립을 줄이더라도 축소된 곳에 주택은 맞지 않다. 재협상을 해서 테마파크나 비즈니스 공간이든 창원시와 마산지역 발전을 위한 토지이용계획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논란이 있는 로봇랜드 사업에 대해서는 산업연계형으로 전환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박 시장은 "단순 테마파크가 아니라 로봇산업 진흥을 위한 산업연계형으로 전환할 것"이라며 "경남도가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내용 보완을 논의하고 있는데 결론이 나오면 추진에는 차질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연계형을 위한 내용 보완은 △로봇기술 시범지역, 수요 창출 공간 △전시·체험·교육시설을 산업·문화 복합공간으로 조정 △R&D 기능 강화를 위한 기업·대학·연구소 유치 △지역 관련 기업 참여 등이다.

그러나 창원시는 로봇랜드 개장 시기를 애초 2013년에서 1년 늦추기로 했다. 이는 사업 재검토뿐만 아니라 연결도로인 국도 5호선 개설(2018년) 시점이 늦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012년 여수엑스포 시기를 겨냥한 부분 개장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창원시는 거제까지 연결하는 국도 5호선 구간(24.9㎞) 중 현동에서 원전까지(13.1㎞) 우선 개설을 정부에 건의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