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 인양지 훼손 중단·문화재 임시 지정 촉구

지난달 27일 김주열 열사 추모사업회 서승오 사무국장이 창원시청 앞에서 4·19혁명 발원지 문화재 지정 신청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였다. /경남도민일보DB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 국가 지정 문화재 등록을 추진하고 있는 김주열 열사 추모사업회(대표 백남해 신부)가 지난달 27일 1인시위를 벌이면서 창원시에 대해 등록 신청을 하라고 요청한 데 이어 이번에는 인양지 훼손 중단과 도지정 문화재 임시 지정을 요구하면서 경남도를 압박하고 나섰다.

추모사업회는 10일 오전 11시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일 '향후 문화재로 지정 보존, 관리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는 창원시장의 의견서가 첨부된 문화재 지정 신청서를 경남도에 제출했다"면서 "그럼에도 다시 이 자리에 서게 된 것은 절차와 시간이 필요한 문화재 심의 과정을 느긋하게 기다릴 여유가 없을 만큼 훼손돼 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추모사업회는 "문화재 구역에 포함돼야 할 일부 공간을 마산해양항만청이 한 선박회사에 임대해 지난 7월 용도를 알 수 없는 탱크 등 구조물을 설치했다"고 말했다.

사업회는 특히 "이곳은 현재 마산해양신도시 건설 사업에 포함된 구역으로 6월 10일 경남도에서 마산해양신도시개발 계획 및 실시계획 인가가 나 언제 매립돼 사라질지 모르는 위기에 처해 있다"면서 "이런 와중에 문화재 대상 지역에 1~2년 안에 치워지지 않을 것 같은 견고한 구조물을 설치해 놓은 데 대해 의구심을 떨쳐 버릴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사업회는 또 "위대한 4월 혁명의 발원지를 문화재로 지정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이 어떻게 협의·조정되든 관계없이 문화재 문제가 최우선 해결돼야 한다"면서 "지금처럼 소리도 없이 재빠르게 훼손이 진행되는 상황을 중단시켜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주열 열사의 시신인양지는 문화재냐 아니냐를 떠나 현대사의 중요한 역사 현장이라는 점은 아무도 부인할 수 없다"면서 "발굴 조사나 전문가들의 감정이 필요한 유물이나 유구와는 달리 문화재 임시 지정권자의 가치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