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물생명시민연대 "매립·인공구조물 허용 못해"
국토해양부와 창원시가 검토 중인 마산만 서항지구 앞바다 인공섬 계획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는 26일 성명을 통해 "더 이상 마산만 공유수면을 갉아먹는 매립과 인공구조물은 절대 허용할 수 없다"며 "마산만 서항지구 매립, 마산 해양신도시 건설 원안 추진을 전제로 한 제3차 항만기본계획을 철회하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제3차 항만기본계획(2011~2020년)에 해양신도시와 돝섬 중간에 매립을 한 인공섬을 만드는 서항지구 해양공원 조성사업을 비롯해 마산항 구항 방재언덕 조성사업, 가포B지구 친수공간 조성사업 반영을 검토 중이다.
또 창원시는 정부 계획과 별도로 돝섬에 붙여서 물에 띄우는 인공구조물을 만드는 '마산르네상스 아일랜드 조성 타당성 용역'을 추진 중이다.
이에 대해 18개 단체가 참여한 창원물생명시민연대는 "폭이 3㎞ 미만밖에 되지 않아 해수 유동이 느린 마산만 내만을 항로만 남기고 온갖 구조물로 빈틈없이 채워 넣겠다는 것"이라며 "마산만에 매립이 허용돼서는 안 된다는 시민의식 변화 등을 담아내지 못하는 항만계획은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더 큰 손실비용과 미래비용을 지불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1차 항만기본계획의 과도한 물동량 예측은 가포신항 건설이라는 마산항 1-1단계 사업계획을 수립했고 서항지구 매립과 해양신도시 사업으로 이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창원시, 국토해양부,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마산만을 살리는 쪽으로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창원시에는 마산 해양신도시 사업과 관련해 "'매립을 피해야 한다'는 조정안을 수용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또 국토해양부에 "부산진해신항과 부산북항 등 주변지역에 따른 마산항 미래를 자세히 검토해 항만 재배치와 기존 항만 활성화 방안을 3차 항만기본계획에 반영해 주기 바란다"며 "1·2차 항만기본계획의 오류를 인정하고 마산 해양신도시 사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책임성 있는 행정력을 발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지역 국회의원들에게는 "지역사회 민심을 이해하고 서항지구 매립과 해양신도시 사업을 원점에서 해결하기 위한 정치력을 집결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가 마산만 인공섬 계획을 반대함에 따라 앞으로 사업 추진에 따른 논란이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항만정책과 관계자는 인공섬 계획에 대해 "내부 검토 중이지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3차 항만기본계획은 11월에 공청회, 환경관련 사업은 주민설명회를 거쳐 내년 3월에 최종 확정돼 고시될 계획이다.
박완수 창원시장은 26일 간부회의에서 "국토해양부가 실무적으로 어떻게 계획하고 있는지 시 입장에서 정리해야 한다"며 "정확히 파악해서 시가 할 일을 놓치지 않게 전반적으로 챙겨야 한다"고 지시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