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물에 띄우는 인공 구조물…국토부, 매립 통한 인공섬 검토
마산 앞바다에 인공섬 건설이 추진된다. 정부와 창원시가 인공섬 계획을 각각 검토 중이다.
이 인공섬은 마산만 서항지구 앞바다를 매립해 조성하는 마산 해양신도시와 또 다른 사업이다. 정부와 창원시가 검토 중인 인공섬 방식은 차이가 있다. 정부 계획은 해양신도시와 돝섬 중간에 매립을 한 인공섬이고, 창원시 계획은 돝섬에 붙여서 물에 띄우는 인공구조물이다.
국토해양부는 제3차 항만기본계획에 서항지구 해양공원 조성사업, 마산항 구항 방재언덕 조성사업, 가포B지구 친수공간 조성사업 반영을 검토 중이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인 한나라당 안홍준(마산을) 국회의원이 지난 20일 창원시와 정책간담회에서 이 같은 진행 상황을 전하기도 했다. 3차 항만기본계획은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와 협의를 거쳐 내년 3월에 확정된다.
정부의 서항지구 해양공원 조성사업은 2020년까지 900억 원을 들여 인공섬(9만㎡)을 만들어 서항지구 앞바다에 들어설 마산 해양신도시와 돝섬을 다리로 연결하는 계획이다. 안홍준 의원실은 이 사업에 대해 "인공섬 방식과 환경적 요소를 가미한 차원에서 다각적인 방안과, 서항지구에서 도보로 해양공원과 돝섬에 접근할 수 있도록 검토계획을 수립 중이다. 궁극적으로 시민의 친수기능 강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창원시도 별도로 돝섬과 연계한 인공섬 계획을 검토 중이다. 시는 내년 예산에 1억 원을 확보해 '마산르네상스 아일랜드 조성 타당성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창원시 허종길 도시디자인과장은 "타당성 용역 추진은 마산만 워터프런트(수변공간)와 마창대교와 연계한 지역명물을 만들어보자는 취지"라며 "돝섬 면적(11만 2000㎡)이 좁아 물에 띄우는 인공섬을 돝섬에 붙여 자연과 인공이 공존하는 개념을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창원시는 정부의 인공섬 계획을 반기는 분위기다. 3차 항만기본계획에 인공섬 계획이 반영되면, 창원시 계획도 탄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계획 모두 인공섬 조성 목적이 친수공간이지만 논란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항지구 앞 대규모 매립을 하는 마산 해양신도시 사업은 여러 문제에 부닥쳐 창원시가 사업방향을 놓고 고심 중이고, 시민사회단체는 매립으로 갈수록 마산만이 좁아진다고 비판해 왔기 때문이다.
서항지구 앞 인공섬 사업은 논란이 있을 수도 있지만 3차 항만기본계획에 마산항 구항 방재언덕 조성과 가포B지구 친수공간 조성사업이 반영되면 창원시가 추진하는 마산만 워터프런트 사업의 촉매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방재언덕 사업은 2020년까지 626억 원을 들여 마산항 구항(어시장 장어골목 앞)에 방재용 친수시설(7만 4000㎡, 공원·산책로·방품림·광장·주차장)을 조성하는 것이다. 또 가포B지구 친수시설(3만㎡, 광장·공원·캠핑장·수변데크·산책로·주차장) 사업은 2020년까지 900억 원을 들여 친수형 레저공간을 조성해 시민 쉼터를 만드는 것이다. 마산지방해양항만청 관계자는 "3가지 사업이 들어갈지 안 들어갈지 아직 모른다. 가포지구 친수공간과 구항 방재언덕은 긍정적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