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해양신도시 개발 문제로 간담회가 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고, 4일에는 이주영 의원의 대정부 질문이 이어졌다. 통합창원시가 된 후, 모처럼 국회의원과 지역사회가 협력체계를 구축해 중앙정부로 하여금 과거 정책을 변경하기 위해 노력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애초 정부가 세운 컨테이너 2선석과 일반화물 2선석의 마산신항만 계획은 오류가 되어 항만 개장을 눈앞에 둔 지금은 4선석 모두 일반화물만 취급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이에 대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국토해양부도 복잡한 속사정이 있을 것이다.

마산신항만 건설로 생기는 준설토로 해양신도시 건설이라는 단순한 논리로 10년 앞을 내다보지 못한 정부와 마산시의 정책오류는 질타를 받아야 마땅하지만 그래도 통합창원시가 되면서 시민사회의 문제제기를 창원시장과 지역 국회의원들이 재검토하는 과정은 의미 있는 일임에 틀림 없다.

안홍준, 이주영 등 경남 국회의원들이 국회회관에서 국토부와 창원시 관계자, 주민 대표들과 함께 해양신도시 개발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인 것은 다행한 일이다. 이날 토론에서는 마산 해양신도시 건설이 가져올 환경문제와 정부정책의 변경 방안 등이 주요 이슈로 다뤄졌다.

이미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조정위원회를 만들어 해양신도시 사업을 재검토 중인 창원시에 제시한 △준설하되 매립하지 않는 방법 △준설하되 매립면적을 줄이는 방법 △가포신항만 부지를 매수해 용도를 변경하는 방법 등 3가지 조정안 중에서 간담회는 가포 신항만 부지를 매수해 용도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가닥을 잡아갔지만 의견을 모으는 것이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굳이 성과라면 간담회 자리에서 박준권 국토해양부 항만정책과 과장도 문제가 있다면 의견을 들어서 반영토록 하겠다고 말한 것이다.

국토부 장관도 이주영 의원의 대정부 질문에 종합검토를 위한 태스크 포스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다. 비록 마산 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추진방향 조정위원회가 도출한 세 가지 조정안을 두고 간담회에서 최종 결론은 내리지 못했지만 공은 정부로 넘어간 셈이다.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행정통합에 따라서 정책 전환을 모색할 수 있는 적절한 시기에 지역현안을 정부가 어떻게 풀어 나가는지를 꼼꼼하게 지켜볼 때이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