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마산시가 반대에도 무릅쓰고 추진해온 해양신도시 사업이 통합과 함께 재검토 대상이 됐다. 현재 창원시는 이해당사자와 전문가들이 참여한 조정위원회를 꾸려 재검토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달 28일 3차 조정위원회에서 허정도 위원장은 이렇게 말했다. "호랑이 꼬리를 잡은 꼴이다. 계속 잡고 갈 수도 없고, 놓으면 죽을 것 같은 상황이다." 갑갑한 상황을 말한 것이다.
해양신도시 사업은 가포신항 개발, 큰 배가 가포신항에 들어오도록 항로 준설, 그 준설토로 서항지구 앞바다를 메워 신도시를 조성하는 계획이 복잡하게 물려 있다. 해양신도시 사업 논란의 시작은 가포신항이다. 신항 사업을 위한 항만 수요예측을 잘못한 정부의 책임도 있다.
복잡하지만 통합 창원시 관점에서 새로 검토해야 한다는 필요에서 조정위까지 꾸려졌다. 앞으로 지속할 도시 생명을 생각하면 사업 수정을 위한 시간, 그에 따른 비용은 감내해야 한다며 수정 쪽에 무게가 실린다.
그러나 문제는 엄청난 양의 준설토를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가 관건이다. 조정위원회는 준설토 대체 투기장, 재활용 등 여러 방안을 연구 중인데 비용 문제 때문에 골머리를 싸매고 있다. 조정위 논의 과정도 쉽지 않았다. 민간사업자는 이러고 있을 시간이 없다며 조정위 무용론을 펴기도 했다. 서로 언성이 높아지기도 했다. 한 시의원은 조정위에 괜히 참여했다고 했다. 골치 아프니 그런 말이 나올만하다.
당연히 조정위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복잡하게 얽힌 사업의 새로운 추진 방향을 제시해야 하니, 더구나 창원시 출범과 함께 조정위원회라는 첫 시도에 성과를 남겨야 한다는 중압감도 있을 것이다. 조정위는 지난 한 달 동안 결과물을 오는 15일 5차 회의에서 만들 계획이다. 해양신도시 사업 추진 방향이 어떻게 나올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 |
||
관련기사
- (사설)창원시 대형사업 재조정되어야
- 창원시 대형사업 재검토 힘 받는다
- 마산 해양신도시 '매립 최소화' 가닥
- "매립 일색 해양신도시 도시재생 관점서 조정을"
- "마산해양신도시 협약, 취소 가능"
- "해양신도시, 통합시 관점서 재검토해야"
- 마산 해양신도시 사업 윤곽 나오나
- 마산 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재검토 쟁점들
- [사설]해양신도시 포기와 준설토처리 대책을
- 마산해양신도시 조정위 '매립은 피해야'
- 마산해양신도시, 창원시 정치력에 달렸다
- "가포신항 용도변경 찬성"
- "해양신도시 여론조사 결과 발표 안돼"
- [사설]수정 불가피한 마산 해양신도시사업
- 창원 해양신도시 사업 정부 협의 시작
- "해양신도시 국토부와 협의 후 결정"
- 해양신도시 수정, 국회의원도 나섰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