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현장방문 "자연과 시민 단절 … 집중호우 이런 식으로 해결해야 하나"

8일 오전 11시 창원 파티마병원 앞 창원천교~대원교에 20여 명이 모였다. 이들은 포클레인이 흙을 걷어내는 하천 주위를 돌며 이런저런 얘기를 쏟아냈다.

"지나가면서 보기는 했지만 도로 만드는 공사인 줄 알았지."

"나도 그런 줄 알았는데…."

"저게 옹벽이었구나."

"아이들 키에서는 하천을 바라볼 수 없겠네. 직접 보니까 와 닿네."

정확히 한 시간을 둘러본 후 현장을 떠나는 이들의 뒷모습에는 씁쓸함이 묻어났다.

창원하천살리기시민연대 소속 환경단체 회원들과 풀뿌리 강사 모임 회원 등이 8일 홈플러스 창원점 앞 창원천 콘크리트 옹벽 현장 조사와 창원천 탐사를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sajin@

경남풀뿌리환경교육정보센터·창원하천살리기연대는 센터 풀뿌리 신입 강사들과 함께 '창원천 콘크리트 옹벽 현장 방문'의 시간을 마련했다.

창원천 생태하천복원사업 구간인 창원천교~대원교 양쪽에는 700m에 걸쳐 1m 높이로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고 있다. 지난해 7월 집중호우에 물이 넘치자 창원시에서는 '옹벽 설치'라는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창원하천살리기시민연대를 중심으로 한 시민단체에서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고 있다. 비가 많이 와서 물이 넘친 게 아니라, 하수구가 막혀 역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옹벽 설치가 아닌 하수구 정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땜질식 처방으로 내놓은 옹벽 때문에 더 이상 생태모니터링을 하기 위해 하천 밑으로 내려갈 수도 없다고 걱정한다. 아이들은 1m 높이의 옹벽 때문에 하천을 바라볼 수도 없다는 것이다. 더 이상 이곳에서는 물고기가 죽었는지, 생활하수가 들어오는지, 계절 따라 어떤 꽃들이 피고 지는지, 물새가 오는지를 알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시민단체에서는 설치 중인 옹벽을 다시 없애거나, 최소한 옹벽을 양쪽 도로변 높이와 같게 깎아 낼 것을 바라고 있다.

이들을 안내한 경남풀뿌리환경교육정보센터 박경숙 이사는 "아이들과 함께 정기적으로 생태교육을 한다. 아이들의 기준은 '보인다'와 '보이지 않는다'이다. 이 옹벽은 자연과 시민을 단절하는 벽"이라고 설명했다.

창원하천살리기시민연대 이보경 부장은 "지난해 7월 집중 호우 이후 창원시가 시민 의견을 모으지 않은 채 토목사업 마인드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며 안타까운 심정을 내비쳤다.

이 즈음 자동차로 주변을 지나던 한 여성은 차창 너머로 "잘하십니다"라는 격려의 말을 전했다.

박경숙 이사는 참석자들에게 "돌아가서 창원시청 홈페이지에 많은 글을 남겨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