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강성재료 이용 공사 생물 사라져 취지 무색"

정당, 시민·사회단체가 창원시의 생태하천 시범사업이 오히려 하천 생태를 파괴한다며 사업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 등 11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창원 하천살리기 시민연대는 29일 오후 창원시 남천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2006년 11월 창원시, 환경부, 환경단체는 '창원시 생태하천 복원사업 시범사업' 협약서에 서명했다"며 "그러나 창원을 가로지르는 두 물줄기인 창원천과 남천은 '환경수도 창원'이라는 제단에 바쳐진 제물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지난해 수해로 큰 피해를 보자 뒷감당에 놀란 창원시는 '부분적인 강화제 사용'이라는 전문가 의견을 선택해 하천에 콘크리트와 철망 등 강성재료를 사용해 복구를 하고 있다"며 "이로 말미암아 저수로 바닥이 드러나고 저수호안이 사라지면서 그 속의 생물들은 흔적조차 없이 사라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창원하천살리기 시민연대가 29일 오후, 창원 남천변에서 창원시의 생태하천시범사업 중단을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유은상 기자

시민연대는 또 "사업은 시민단체가 적극참여해 민관이 협력하는 민주적인 과정으로 진행돼야 하지만, 시는 이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시범사업은 심각한 하천공원화 사업, 방재하천 조성사업으로 회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시민연대는 시민을 기만하고 예산을 낭비하는 생태하천 시범사업을 환경부에 반납할 것과 안정화된 나머지 하천구간을 그대로 보존하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이들은 예산집행과정과 공무수행이 적절했는지 감사원 감사청구와 6·2지방선거 후보자에게 정책제안서를 보내고 후보자 현장설명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